Skip to content

데이터 단위 #

Find similar titles

5회 업데이트 됨.

Edit
  • 최초 작성자
    Myunghee Jung
  • 최근 업데이트
    JEM

Structured data

Category
Computer science

BitByte #

IBM휴렛 팩커드PC를 선보이면서 트랜지스터의 시대는 가고 마이크로컴퓨터 시대가 도래한지도 어언 40년이 흘렀다. 지금은 대부분의 가정에 PC 한 대씩은 보유하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뒷주머니에 컴퓨터 하나씩 지니고 있는 셈이며, 심지어 아직 글을 깨우치지 못한 삼척동자마저 스마트폰으로 게임 정도는 쉽게 할 정도로 너무나 당연한 것이 되었다.

  • PC의 역사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70년대 애플사의 PC보급이 성공하면서 8비트 시대가 시작되었다.
  • 80년대 16비트 시대가 되면서 컴퓨터를 이용한 사무자동화가 본격적으로 열리게 되었다. 수십 년간 PC계를 장악하고 있는 너무나 익숙한 인텔의 x86이 바로 이때 등장하게 된다.
  • 90년엔 비로소 32비트 시대가 되었고 더불어 MS 윈도우즈가 탄생해 대중의 인기를 얻기 시작한다. 윈도우즈를 생각하면 IBM 근무 시절 빌게이츠가 말했다는 "메모리는 640K이면 충분하다"는 어처구니없는 루머가 떠오른다. 시대를 예측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피력하고자 했던 전산 종사자들이 퍼뜨린 소문이었을 것이라 예상한다.
  • 새천년이 지나 지금은 64비트 PC가 일반적으로 보급되고 있으며, 쿼드코어 CPU가 일반적일 정도로 하드웨어의 눈부신 발전이 진행 중이다.

인터넷 속도나 데이터 용량을 이야기할 때 속도가 몇 메가이고 데이터가 몇 메가라고 말하는데 용량을 나타낼 때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가 Bit와 Byte라는 것은 다들 익히 들어 알고 있을 것이다.

Bit의 의미 #

컴퓨터는 전기의 흐름을 디지털화하여 0과 1로 표현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한다는 것을 현대인이라면 들어는 보았을 것이다. 0과 1이라는 신호를 단위로 표현할 때 bit로 표현한다. 간단한 예로 16bit라고 하는 것을 해석하면 0과 1의 조합이 16개 있다는 의미이다. Bit란 용어는 1948년 Shannon의 논문에서 처음 거론되었다고 한다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Binary digital을 축약시킨 것으로 영어사전에 있는 bit의 사전적 의미와 너무나 딱 맞는 것이 초창기 컴퓨터과학자들의 수준 높은 명명수준에 절로 감탄이 나온다.

Byte의 의미 #

Byte의 의미를 간단히 살펴보면 1byte가 8bit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알 것이다. Byte라는 의미는 플랫폼에서 한 번에 처리하는 데이터 크기를 의미한다. 한 번에 베어먹을 수 있는 크기라는 의미에서 bite라는 단어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왜 i를 y를 변경했는가는 bit와 함께 사용하면 오타가 발생했을 때 문제가 있을 수 있어서 변경하게 되었으며, 또 다른 이유는 초창기 컴퓨터과학자들에겐 새로운 용어를 만들거나 기존의 단어를 변경하는 것이 당시 유행이었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그렇다면 1byte를 표현하는데 왜 8bit를 사용하는가도 궁금할 것이다.
이미 알고 있는 것과는 다소 다르게 1byte가 반드시 8bit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초기 컴퓨터는 ASCII 코드만 사용하면 됐기 때문에 7bit를 1byte로 했다. 초창기 컴퓨터의 신뢰성 문제로 1byte로 표현된 7bit가 과연 정확한 데이터인지 검증하는 방법으로 마지막에 1bit를 추가해 parity bit로 사용하게 되었다. 머신의 특성에 따라 기타 설정을 위한 1bit를 더 추가해 9bit를 1byte로 사용하는 예도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마그네틱 테입 장치의 경우 9bit를 1byte로 사용하고 있다.

정리하자면 1byte라는 것은 플랫폼이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개념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반드시 8bit로 구성된 것은 아니다. 만약 컴퓨터란 것이 한반도에서 개발되었다면 아마도 1byte는 16bit가 되었을 것이라 예상한다.

BitByte 용량단위 표기 팁 #

컴퓨터의 용량은 10진수가 아닌 2진수로 표기가 된다.

  • 1킬로바이트(kbyte) = 1,024바이트(byte)
  • 1메가바이트(Mbyte) = 1,024킬로바이트 = 1,048,576바이트
  • 1기가바이트(Gbyte) = 1,014메가바이트 = 1,048,576킬로바이트 = 1,073,741,824바이트
  • 1테라바이트(Tbyte) = 1,014기가바이트 = 1,048,576메가바이트 = 1,073,741,824킬로바이트 = ...

1TB > 1GB > 1MB > 1kB 는 1,024 배씩 증가하게 된다.

단위 표기를 할 때의 주의점도 알아보면 대소문자에 의한 의미가 다르다는 것은 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1TB와 1Tb의 의미를 알아보면 1TB는 1 Tera Byte를 의미하고, 1Tb는 1Tera bit를 의미한다. 1byte가 통상 8bit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8배의 용량차이가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단위 표기에서 Tera, Giga, Mega는 대문자로 표기하지만, kilobyte의 경우는 소문자로 표기하는 것이 올바른 표기법이다.
10KB가 아닌 10kb로 표기하는 것이 정상적인 방법이다. 대문자가 되면 절대온도 캘빈 단위가 된다. (KB는 국민은행을 나타낼 때 사용하면 된다.)

Incoming Links #

Related Articles #

0.0.1_20231010_1_v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