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데이터 품질진단 절차1 #
Find similar titles

Structured data

Category
Management

데이터 품질 진단 계획 수립 #

데이터 품질 진단 프로젝트 정의 #

품질 진단 계획 수립은 품질 진단의 개요 및 정의, 품질 진단 수행 조직의 정의와 세부 수행 절차 확립 등의 '계획' 수립과 품질 기준 및 대상 선정, 데이터 프로파일링, 업무규칙 정의 등의 '준비' 로 크게 두 개의 프로세스로 구분해 볼 수 있다.

  • 프로젝트 정의와
    • 데이터 품질진단 프로젝트의 목적과 배경, 목표, 추진 방향, 업무 범위 등을 정의한다.
  • 조직 정의 및 편성
    • 데이터 품질진단 프로젝트를 수행할 전담 조직을 구성.
    • 전사 데이터 관리 조직별 역할 및 책임을 구체적으로 명시.
  • 품질 진단 절차 정의
    • 데이터 품질진단을 수행할 때의 수행 방법론, 절차, 기법, 도구 등을 정의하며, 진단 수행 시의 품질진단 프로세스를 정의.
  • 세부 시행 계획 확정
    • 수립된 방법론, 절차에 따라 인력, 기간, 자원, 산출물 등을 정의하여 상세계획을 확정.
  • 품질 기준 및 진단대상 정의
    • 품질 진단을 위한 품질 기준 선정, 진단 대상 정의, 핵심 품질항목 등을 선정하고, 데이터 프로파일링, 업무규칙 정의 및 체크리스트 준비를 수행.

수행 조직 정의 #

품질진단 대상의 데이터 관리 조직을 분석, 데이터 품질진단 프로젝트를 수행할 전담 조직으로 정의한다.

품질진단 절차 정의 #

품질 진단 대상의 데이터 관리 수준, 인력, 자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현실에 부합된 진단 절차를 정의하고 적합한 품질 방법론이나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적합한 진단 절차를 도출한다.

세부 시행 계획 확정 #

사전 수립된 데이터 품질진단 프로젝트 계획, 조직, 절차를 토대로 품질 진단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인력 등의 배정 및 확증을 통해 프로젝트 계획을 수립한다.

품질 기준 및 진단 대상 정의 #

품질 기준 및 진단 대상 정의는 실제 품질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대상 선정, 데이터 프로파일링 등이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적용할 품질 측정의 기준을 사전에 정의하고, 데이터의 형태에 따라 품질 진단 수행할 대상 정보 시스템의 테이블 및 컬럼 등을 정의하거나 진단 대상이 되는 메타 데이터를 선정, 데이터 유형별 특성에 따른 데이터 프로파일링 및 업무규칙 정의, 체크리스트 준비 등을 수행한다.

  • 품질 기준 선정
    • 품질 측정 시 기준이 되는 품질 기준을 선정.
    • 정형·비정형 데이터의 형태별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품질 기준을 적용.
  • 품질 이슈 조사
    • 데이터의 품질이슈를 조사.
    • 설문, 면담, 또는 과거에 수행된 데이터 품질 진단 내용 등을 조사.
  • 데이터 관리 문서 수집
    • 대상 시스템 구성도, 테이블 정의서, 컬럼정의서, 용어사전, ERD등을 비롯 설계 표준이나 지침, 등의 데이터 관리 문서를 수집.
  • 진단 대상 중요도 평가
    • 사전 조사된 이슈를 토대로 진단 대상 비정형 콘텐츠나 테이블 등의 업무 중요도 및 서비스 중요도를 선정하여 진단 대상의 중요도를 평가.
  • 진단 대상 선정
    • 진단 대상 업무, 테이블, 등에 대한 중요도, 품질 이슈 등에 따라 우선 진단 대상을 선정.

Image

핵심 데이터 항목 정의 (출처)

  • 핵심 데이터 항목 정의

    • 선정된 진단 대상 테이블에 대한 핵심 데이터 후보 항목을 도출, 색힘 데이터 항목, 측정 항목을 선정. Image

      프로파일링 대상 및 유형 목록 (출처)

  • 데이터 프로파일링

    •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데이터 소스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구조, 내용, 품질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분석.
  • 업무규칙 정의
    • 업무적 특성이 데이터에 반영된 규칙을 도출하여 데이터에 존재하는 업무규칙으로 정의.
0.0.1_20210630_7_v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