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uctured data
- Category
- Computer science
주요 용어 #
- 스프린트 : 달력기준 1~4주 단위의 반복 개발기간을 말한다.
- 3가지 미팅 :
- 스프린트 계획 : 스프린트의 대한 목표, 진행 항목 선택 , 각항목에 대한 담당자를 지정
- 일일스크럼 : 매일 15분간 진행 , 문제점을 파악하고 방해요소를 제거하는데 노력
- 스프린트 리뷰 : 스프린트 달성 여부를 판단, 스르럼 팀은 개발 내역을 참석자에게 발표, 각스프린트의 개선사항을 도출
- 산출물
- 제품백로그 : 개발되어야 할 우선순위 목록 ( 고객에 대한 요구사항 )
- 스프린트 백로그 : 하나의 스프린트 동안 개발할 목록으로 사용자 스토리와 이를 완료 하기 위한 작업을 정의
- 소멸차트 : 개발완료까지 남은 작업량을 보여주는 그래프
- 사용자 스토리 : 제품 백로그에 정의된 기능을 말한다.
- 스토리 포인트 : 남은 업무량에 대한 추정
특징 #
투명성 #
- 스크럼 회의, 소멸차트, 스프린트 리뷰와 같은 기법을 이용하여 다른 방법론에 비해 프로젝트의 상태나 문제점 파악 하기 좋다.
타임박싱 #
- 스크럼은 매일 15분 짧은 시간만 진행한다.
- 스크럼 자체 진행에 있어서 엄격하게 시간을 제한 프로젝트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커뮤니케이션 #
- 각 개발자간의 장애, 경험 부족 등의 문제를 공유
- 각 개발자 간의 구현 난이도 / 시간을 관리
경험주의 모델 #
- 프로젝트 진행 시 개개인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다.
- 프로젝트 마다 특정 상황 혹은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존 정형화된 프로세스는 적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 기본적인 구조는 같으나 프로젝트가 시작되면 팀마다 프로세스의 변경을 허용한다.
담당자별 역할 #
제품책임자 #
- 각각 스프린트에 대한 목표를 세우고 제품 백로그 부터 각 스프린트의 항목에 대한 담당자를 정한다.
- 스프린트가 진행 되면
스크럼 마스터 #
- 문제를 해결하기 방해요소 제거를 위한 노력
- 스크럼의 원칙과 가치를 지키면서 개발 진행이 가능하도록 지원
스크럼 팀 #
- 하나의 스프린트 기간동안 구현해야할 기능을 구현.
- 문제를 보고하며 완료하기 위한 노력을 한다.
0.0.1_20210630_7_v33
-
content-type
text/x-markdown
-
schema
Data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