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항생제내성 데이터 및 관리 항목(동물및환경) #

Find similar titles

4회 업데이트 됨.

Edit
  • 최초 작성자
    jmkang
  • 최근 업데이트
    jmkang

Structured data

Category
Database

동물 및 환경에서의 항생제 내성 #

일반적으로 의약품에 의한 항생제 내성만이 사람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항생제 내성은 사람에게 처방되는 의약품뿐만 아니라 축산물, 농산물, 수산생물 등의 동물과 환경까지 다양한 곳에서 현재 항생제 내성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는 사람에게까지 영향을 미친다.

Image

그림 1. 항생제 내성균의 발생 및 전파 경로 (출처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동식물의 질병 치료 및 예방뿐만 아니라 성장을 촉진시키거나 생산 및 수확의 증가에 항균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2017년 국제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일부 국가에서는 의학적으로 중요한 항생제의 전체 사용량 가운데 약 80%가 동물에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 중 상당한 부분이 건강한 동물들의 성장촉진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이와 같은 항생제 남용에 따른 항생제 내성균 등의 문제로 인해 최근 국제세계보건기구(WHO)나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서는 농‧축‧수산물, 사람, 환경 등에 대한 광범위적인 항생제 내성균 감시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2003년부터 2012년까지 10년 장기 계획인 ’국가항생제 안전관리사업(NARMP, National Antimicrobial Resistance Managemaent Program)‘이 식품의약품안전처 주관으로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보건복지부, 한국소비자원, 시‧도보건환경연구원 및 종합병원과 연계하여 수행되었으며,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 계획으로 현재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을 수행하고 있다.

동물 및 환경에서의 항생제 내성 모니터링 #

축산물안전관리시스템 #

Image

그림 2. 축산물안전관리시스템

국가항생제 안전관리사업(NARMP)을 통해 가축 및 축산물의 식중독 세균과 유래 지표 세균의 항생제 내성률, 가축의 병원성 세균에 대해서 조사를 진행하여 왔으며, 2008년부터 농림축산식품부의 주관으로 농림축산검역본부 및 동물위생시험소, 보건환경연구원과 함께 ’축산 항생제 내성균 감시체계 구축‘사업을 수행하였다.

2013년부터는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협력하여 국내 축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생산에서 유통까지 이르는 전체 단계에 걸친 항생제 내성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인 축산물안전관리시스템(LPSMS, Livestock Product Safety Management System)을 구축하였다. 축산물안전관리시스템을 통해 도축장 및 유통단계의 항생제 내성균에 대해 농림축산검역본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협력하여 조사 및 모니터링하고 있다.

Image

그림 3. 축‧수산 항생제 내성 모니터링 개요 (출처 : 2017 국가 항생제 사용 및 내성 모니터링 –가축, 축산물-)

식중독균통합정보망 #

Image

그림 4. 식중독균 통합 정보망

식중독균 통합 정보망 (Korea Integrated Pathogen Information Network : KIPIN)은 식중독균의 생화학적 특성 및 유전적 특성 등의 다양한 식중독균의 특성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정보 시스템으로 식중독의 원인을 규명하고, 식중독균에 대해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식중독균의 분리기원 및 유전적 상동성(PFGE) 뿐만 아니라 항생제 내성, 유전형, 병원성 등의 다양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식중독 원인 조사와 추적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참고문헌 #

  • 2018년 축산 항생제 내성균 감시체계 구축 교육
  • 2016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
  • 동물 및 환경에서 분리된 항생제 내성균 및 내성 유전자, 조동택
  • 내성균 감시를 위한 One-Health 개념의 대응방안 연구, 질병관리본부

Suggested Pages #

0.0.1_20231010_1_v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