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ercial Breeding Program
#
Find similar titles
- 최초 작성자
- 최근 업데이트
Structured data
- Category
- Business
Molecular Markers in a Commercial Breeding Program(기사 첨부) #
소개되어지는 내용은 몬산토에서 이루어지는 R&D Program에 대한 안내이다.
1990년에 접어 들어 몬산토는 marker assisted selection을 활용하여 양적 형질 연구를 global plant breeding program에 시행하였다. 우수한 육종 프로그램에서 성과를 올리기 위하여 genotyping system과 information tools 그리고 marker을 활용한 방법을 발전시켰다.
1980년대부터 DNA-based molecular 마커를 활용한 방법이 지속적으로 발전 되어져 왔고 다양한 QTL(Quantitative Trait Loci) mapping 연구들은 표현형 형질과 광범위하게 연계하여 발표되어져 왔다.
이 기사에서는 몬산토의 양적 형질 선택에 주안점을 두고 식물 육종 프로그램에서 molecular marker 기술들의 적용에 대해 중점적으로 소개 되어진다. 성공적인 적용을 위한 5개의 주요 구성은 다음 과 같다.
- Breeding program structure
- Molecular markers
- Genotyping platform
- Phenotypic information
- Information Technology(IT systems)
몬산토에서는 plant breeder와 Genotyping Scientist을 분리하여 업무 프로세스를 정립하였다.두 연구 그룹이 협력하는 방식으로 일년에 3번 이상의 회전을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절차이다. 상업적 육종가들은 back-end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주고 육종 절차에서 Line Development Breeding group으로 분리되어지는 front-end 영역은 기기와 시스템으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으로 구분하였다.
구축된 유전형과 표현형 transactional system은 molecular marker decision making system으로 통합화 되었다. 이 시스템의 주요 특징은 아래와 같다.
- Web based
- Rapid methodology enhancement
- Access from any company computer system
- Submit population for molecular marker assisted selection
- Track project status
- Develop genetic molecular marker models for selection
- Make selection decisions
- Provide a seamless flow to the next stage of the breeding process
시사점 #
몬산토와 같은 회사는 년간 연구비가 1조원이 넘는 다국적 기업으로 언급된 프로그램들을 자체적으로 셋업하여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육종 연구의 성격을 일반화 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국가 기관은 front-end에 해당하는 Line Development Breeding Program 부분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겠다. 육종가와 육종회사 Front-end을 감당하기에는 시설과 자본에서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back-end의 활용 부분을 담당할 수 밖에 없다. IT 시스템을 기반으로 이러한 각각의 결과물을 통합하고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가교 역할을 하는 조직과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
- International Plant Breeding Symposium의 article 다운로드
https://docs.google.com/a/insilicogen.com/uc?id=0BxemU14cDcdsd3UzclhEZVBHRG8&export=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