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yptosporidiosis
#
Find similar titles
-
최초 작성자
jkpark@insilicogen.com
-
최근 업데이트
jkpark@insilicogen.com
Structured data
- Category
- Biology
크립토스포리디움 증(Cryptosporidiosis) #
정의 #
크립토스포리디움(Cryptosporidium species) 감염에 의해 만성 설사를 유발하는 질환이다.
개요 #
크립토스포리디움은 기생성 원생동물 중 구충류의 일종으로 총 6개의 종이 있다.이 중 사람에게 감염성을 갖는 것은 Cryptosporidium parvum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에게로의 감염은 크립토스포리디움 포자인 오시스트(Oocyst)의 경구 섭취로 일어난다. Cryptosporidisis(크립토스포리디움 감염증)에는 유효한 치료약이 없으며 정상인의 경우 1~2주 계속되는 설사를 일으키나 2~3주 동안에 자연 치유된다. 그러나 면역기능이 약한 사람(AIDS, 백혈병, 골수암, 림프선암 등)은 장기간 계속되는 설사로 죽음에 이를 수도 있다.
생태 #
환경에서 크립토스포리디움은 오시스트로 존재하는데 포유동물에게 경구 섭취되면 내부에 존재하는 스포로조이트가 유리하여 소화관내의 점막상피세포의 미섬모에 침입한다.
증세 #
보통 장염과 비슷하여 설사, 복통, 구토, 열등이 발생한다. 특히 1~5세 사이의 외부와 접촉이 잦은 보육원, 학교의 어린이 설사의 주된 원인이 된다.
특성 #
크립토스포리디움은 사람이나 포유동물, 조류, 물고기 등 광범위한 동물의 소화기관과 호흡기관에 기생하는 원생동물이다. 크립토스포리디움은 감염된 숙주의 분변을 통하여 환경에 내생이 매우 큰 Oocyst를 배출하여 다른 숙주에게 전파된다. Oocyst 는 직경이 3-7 ㎛ 되는 구형 또는 계란형으로 다른 동물에게 섭취되면 새로운 감염주기로 번식한다. Oocyst는 자연환경에서 매우 큰 내성을 지닌다. 세균보다 오래 생존하여 수환경에서는 수주일에서 수개월을 생존할 수 있고 온도가 낮고 어두운 샹태의 습한 토양에서는 몇 개월을 생존할 수도 있으며 깨끗한 물에서는 일년 까지 생존할 수있다.
진단 #
진단 진단방법으로 직접도말법, 포르말린-에테르 침전법(MGL), 항산성염색법(MAFS), 면역형광항체법(IFA), 효소면역분석법(EIA), PCR 등이 있다.
치료 #
주혈흡충은 흡충류에 속하며, 흡충류의 치료에 쓰이는 프라지관텔(Praziquantal)이 주로 쓰인다.아프리카, 동남아, 중국 남서부의 여행시 민물에서의 목욕을 삼가시고, 안전한 식수를 음용하는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예방 #
난포낭에 오염된 식품이나 식수를 섭취하거나 가축이나 애완동물 또는 감염자와 접촉등으로 일어날수 있으므로 소, 개, 돼지 등이 포낭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하며 이를 운반하는 파리나 바퀴벌레 등의 위생해충을 구제한다.항상 청결을 유지하고, 식사 전이나 용변 후에 손씻기를 습관화 한다.
참고 #
- [네이버 간호학대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81351&cid=55558&categoryId=55558)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Cryptosporidium)
- [Wikipedia korea] (https://ko.wikipedia.org/wiki/와포자충속)
- [질병관리본부] (http://www.cdc.go.kr/CDC/health/CdcKrHealth0101.jsp?menuIds=HOME001-MNU1132-MNU1147-MNU0746-MNU0752&fid=767&cid=14333)
- [KVCC] (http://kvcc.kahis.go.kr/pms/web/disease/pmsDiseaseView.do;jsessionid=C3DD322CD99CB3EAEE57D05F197F421C?iNo=4&iType=01&diseaseNo=109&searchCondition=&searchKeyword=&searchKeyword1=&searchKeyword2=&searchKeyword3=&pageIndex=11)
- [HealthLinkBC] (http://www.healthlinkbc.ca/healthfiles/bilingua/korean/hfile48-K.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