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EyeWire #
Find similar titles

Structured data

Category
Etc

EyeWire커넥톰 (Connectome)완성을 목표로하는 GWAP (Game with a purpose)이다. 2012년 10월에 첫 런칭된 이후로, 현재까지 150 개국의 10만 명 이상이 이 게임에 참여하였다.

커넥톰 #

뇌 속 뉴런 간 의 연결지도를 커넥톰(Connectome)이라하며, '뇌의 지도' 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1986년에 처음으로 C.elegans의 풀 커넥톰을 완성하였다. 커넥톰의 최종 목표는 인간 뇌의 지도를 완성하는 것이고, 이를 위한 Human Connectome Project (HCP)가 진행 중 이다.

커넥톰 연구 분야의 세계권위자, MIT 승현준 박사의 'I am my connectome'이라는 TED강연에 따르면, 우리의 커넥톰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유전체 염기수의 백만 배에 달하는 연결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 연결에는 많은 정보들이 저장되는데 그 중에 하나가 '기억'이다.

기억은 뉴런뉴런 사이에 저장되고, 그 기억은 내가 나에게 만드는 큰 요소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의 강연 주제 그대로 우리의 커넥톰은 우리 그 자체라 할 수 있을 만큼 개인에게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승 박사는 강연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i am more than my genes, i am my connectome

승현준 박사의 TEDTalk, "I am my connectome"
[출처] http://www.youtube.com/watch?v=HA7GwKXfJB0

EyeWire #

EyeWire (http://www.eyewire.org)에 로그인을 하면 플레이어는 하나의 큐브를 배정받게 된다. 이 큐브는 뉴런 가지의 일부분으로, 모여서 한 세포 내의 커넥톰 맵을 형성하고, 이것이 모이면 모든 세포의 커넥톰 맵을 완성 할 수 있다. (3D 퍼즐과 비슷하다). 플레이어는 배정받은 큐브 내의 뉴런 3D 이미지를 보면서 마우스를 이용해서 뉴런을 재구성하게 된다.

플레이어는 EyeWire에서 게임을 하면서, 활동에 따라 점수를 받고, 레벨업을 할 수 있으며 다른 플레이어의 점수를 실시간 채팅과 랭킹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EyeWire EyeWire 플레이 화면, 오른쪽으로 3D 큐브가 보이고 왼쪽으로는 큐브의 단면이 보인다
[출처] http://www.eyewire.org/

EyeWire의 최종 목표는 망막에 존재하는 뉴런의 연결지도를 완성하고 이해하는 데 있고, 그 외에 개인간의 뉴런 연결 패턴의 차이를 찾아내는 WiredDifferently에도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아래는 Eyewire가 생긴이후부터 지금까지의 뉴런의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Growth_of_a_Neuron

최근, Eyewire를 통해 밝혀진 망막 커넥톰을 이용해서, 어떻게 눈으로 물체의 빠른 움직임을 포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문이 네이처에 발표되었다. (http://www.nature.com/news/wiring-of-retina-reveals-how-eyes-sense-motion-1.15147)

References #

0.0.1_20210630_7_v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