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기본명령어
mv
#
Find similar titles
- 최초 작성자
- 최근 업데이트
Structured data
- Category
- Programming
리눅스 기본명령어 - mv #
mv는 리눅스 명령행에서 파일을 옮기거나 이름을 변경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너무나도 당연하게도 move의 줄임말이다. 간단하게 명령어와 원본파일 그리고 옮길대상(또는 변경될 파일 이름)을 나열하여 사용한다
$ mv [옵션] [원본파일/디렉토리] [사본파일/디렉토리]
파일을 옮기기 위해서는 mv 명령어 다음 원본파일을 입력하고, 그다음에 대상 디렉토리이름을 입력한다.
$ mv Ecoli.dna.fa ori_data
예를 들어 위와 같이 입력하면 현재 디렉토리의 Ecoli.dna.fa 이라는 파일이 현재 디렉토리의 서브 디렉토리인 'ori_data'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파일명은 유지된다.
대상 디렉토리명 대신 파일 이름을 입력하면 그 파일 이름으로 원본파일의 이름이 변경된다.
$ mv Ecoli.dna.fa Ecoli.16s.dna.fa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Ecoli.dna.fa 라는 파일의 이름이 Ecoli.16s.dna.fa라는 파일로 이름이 변경된다.
이를 조합하여 지정된 파일을 정해진 디렉토리에 지정된 파일명으로 옮기는 것도 가능하다.
$ mv Ecoli.dna.fa ori_data/Ecoli.16s.dna.fa
이 경우는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Ecoli.dna.fa 라는 파일을 현재 디렉토리의 서브 디렉토리인 'ori_data'로 이동하면서 파일명을 Ecoli.16s.dna.fa으로 변경되게 된다.
파일 뿐만이 아니라 디렉토리를 대상으로도 이동 및 이름 변경이 가능하다. 옵션에 상관 없이 옮길 대상과 옮겨질 경로(혹은 변경될 파일명)는 필수 인자이다.
옵션 #
- -b, --backup[=CONTROL] : 파일이 지워지기 전에 백업 파일을 만든다. '--suffix'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며 '~'를 붙여서 백업 파일 생성한다.
- -f, --force : 대상파일이 있더라도 파일을 강제(삭제 여부를 묻지 않고)로 삭제한다.
- -i, --interactive : 대상 파일이 있는 경우 덮어쓸 것인지 물어 본다.
- --strip-trailing-slashes : 옮길 대상(SOURCR)의 끝에 있는 슬러쉬('/')를 제거 하고 실행한다.
- -S, --suffix=SUFFIX : 지정된 접미사를 붙여서 덮어쓴다.
- -t, --target-directory=DIRECTORY : SOURCE의 모든 대상을 디렉토리로 옮긴다.
- -T, --no-target-directory : 옮길 대상을 일반파일로 취급한다.
- -u, --update : 대상파일보다 옮길 대상(SOURCE)이 최신 파일일 경우 업데이트한다. 기존의 대상 파일이 없을 경우 그냥 옮긴다.
- -v, --verbose : 파일 이동 과정을 출력한다.
- --help : 해당 명령어의 도움말을 보여주고 실행이 종료한다.
- --version : version 정보를 출력하고 실행이 종료한다.
팁 #
'*' 이나 '?' 같은 와일드카드 문자를 이용하여 원본파일을 지정하면 여러개의 파일을 다른 디렉토리로 옮기는 것도 가능하다.
$ mv *.gz ori_data
예를 들어 위와 같은 명령을 실행하면 현재 디렉토리에서 파이명이 '.gz'로 끝나는 모든 파일들이 현재 디렉토리의 서브 디렉토리인 'ori_data'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파일명은 유지된다.
Suggested Pages #
- 0.025 Mint linux
- 0.025 미닉스
- 0.025 Kubuntu
- 0.025 CentOS
- 0.025 운영체제
- 0.013 Open suse
- 0.013 RedHat
- 0.013 리누스 토르발스
- 0.013 Unix
- 0.013 Linus Torvalds
- More sugges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