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Parabiosis #

Find similar titles

2회 업데이트 됨.

Edit
  • 최초 작성자
  • 최근 업데이트

Structured data

Category
Biology

Parabiosis (개체결합) #

1. 개요 #

왜 우리는 늙어가는 것일까? 늙지 않고 항상 젊게 살 수는 없을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하여 인류는 유사 이래로 계속 노력해 왔다. 개체결합은 두 동물의 순환계를 연결해 혈류를 공유하는 것으로 1860년대에 처음 시도되었다.

2. 연구동향 #

1960~70년에 큰 인기를 끌었지만, 이후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1955년 병리학자인 와이스먼은 이식항원(이식된 세포나 조직의 표면에 발현된 단백질로, 숙주 조직은 이식항원을 근거로 이식된 세포를 받아들일지 거부할지를 결정함)을 연구하던 중 한 마리의 마우스에게 형광추적자를 주입하고 그것이 혈관을 타고 두 마리의 마우스 사이를 왔다 갔다 하는 장면을 목격한 후 30년간 천연 결합체인 멍게를 대상으로 줄기세포와 조직재생를 연구했다1. 1999년 와이스먼은 혈액 줄기세포의 성질과 이동에 대한 두 가지 사실을 발견하였다 [2, 3]. 2002년 개체결합 실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주 이내에 젊은 피는 늙은 마우스의 근육과 간세포를 회복시켜 늙은 줄기세포가 다시 분열이 시작되는 것을 관찰하였다[4]. 2008년 UC 버클리에서 노치 신호경로(노치의 본래 기능은 세포분열을 촉진하는 것이며, TGF-beta의 본래기능은 세포분열을 차단하는 것임)의 활성화 또는 TGF-beta의 불활성화가 근육을 회복시키는 원인이라는 보고가 발표되었으며, 2014년 노화에 저항하는 인자 중 하나로 옥시토신을 찾아내었다. [5]

3. 연구방법 #

두 마리의 동물을 마취시켜, 옆구리 살을 벗긴 후 이 두 마리 동물의 옆구리 속살을 봉합사나 ㅡ테이플로 접합 시킨다. 이후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두 접합된 살 속의 모세혈관망이 서로 연결되어 이 두 마리는 혈류를 서로 공유하게 되며 1~2주 후 상대방의 몸속으로 혈액을 펌프질 하게 하는 방법이다.

4. 참고문헌 #

  1. Bert, P. J. Anatomie Physiologie 1, 69–87 (1864).
  2. Kamrin, B. B. J. Dent. Res. 33, 824–829 (1954).
  3. McCay, C. M., Pope, F., Lunsford, W., Sperling, G. & Sambhavaphol, P. Gerontologia 1, 7–17 (1957).
  4. Conboy, I. M. et al. Nature 433, 760–764 (2005)
  5. Elabd, C. et al. Nature Commun. 5, 4082 (2014).
0.0.1_20230725_7_v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