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REST #

Find similar titles

12회 업데이트 됨.

Edit
  • 최초 작성자
    yang4851
  • 최근 업데이트

Structured data

Category
Programming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

개요 #

image

그림1 REST API

출처: https://res.cloudinary.com/practicaldev/image/fetch/s--YTDTEgpk--/c_limit%2Cf_auto%2Cfl_progressive%2Cq_auto%2Cw_880/https://dev-to-uploads.s3.amazonaws.com/i/ekawmj3rafdtn06hzj79.png

REST는 웹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처리하는 방법을 정의한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모든 데이터 구조와 처리방식은 REST에서 URL을 통해 정의되며, 그래서 매우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다. 이는 대중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때 좀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는 요소이기도 하다.

REST 개념 #

  • HTT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자원(Resource)을 명시하고, HTTP Method(POST, GET, PUT, DELETE)를 통해 해당 자원에 대한 CRUD Operation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 REST는 자원 기반의 구조(ROA, Resource Oriented Architecture) 설계의 중심에 Resource가 있고 HTTP Method를 통해 Resource를 처리하도록 설계된 아키텍쳐를 의미한다. 웹 사이트의 이미지, 텍스트, DB 내용 등의 모든 자원에 고유한 ID인 HTTP URI를 부여한다.

적용 CRUD동작 예시 #

  • Create : 데이터 생성(POST)
  • Read : 데이터 조회(GET)
  • Update : 데이터 수정(PUT)
  • Delete : 데이터 삭제(DELETE)
  • HEAD: 네트워크상 데이터의 header 정보 조회(HEAD)

REST 구성 #

  • 자원(Resource) - URI
  • 행위 (Verb) - HTTP Method
  • 표현 (Representations)

REST의 특징 #

  • Uniform (유니폼 인터페이스)

    HTTP 표준에만 따른다면, 안드로이드/IOS 플랫폼이든, 특정 언어나 기술에 종속되지 않고 모든 플랫폼에 사용할 수 있으며, URI로 지정한 리소스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아키텍처 스타일을 의미한다.

  • Stateless (무상태성)

    REST는 무상태성 성격을 가진다. 다시 말해 작업을 위한 상태정보를 따로 저장하고 관리하지 않는다. 세션 정보나 쿠키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고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API 서버는 들어오는 요청만을 단순히 처리하면 된다. 그래서 서비스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서버에서 불필요한 정보를 관리하지 않음으로써 구현이 단순해진다.

  • Cacheable (캐시 가능)

    REST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HTTP라는 기존 웹 표준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웹에서 사용하는 기존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HTTP가 가진 캐싱 기능이 적용할 수 있다. HTTP 프로토콜 표준에서 사용하는 Last-Modified 태그나 E-Tag를 이용하면 캐싱 구현이 가능하다.

  • Self-descriptiveness (자체 표현 구조)

    REST의 또 다른 큰 특징 중 하나는 REST API 메시지만 보고도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자체 표현 구조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 Client - Server 구조

    REST 서버는 API 제공,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인증이나 컨텍스트(세션, 로그인 정보) 등을 직접 관리하는 구조로 각각의 역할이 확실히 구분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와 서버에서 개발해야 할 내용이 명확해지고 서로 간 의존성이 줄어들게 된다.

  • 계층형 구조

    REST 서버는 다중 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안, 로드 밸런싱, 암호화 계층을 추가해 구조상의 유연성을 둘 수 있고 PROXY, 게이트웨이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중간매체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REST의 장단점 #

장점 #

  • HTTP 프로토콜의 인프라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REST API 사용을 위한 별도의 인프라를 구출할 필요가 없다.
  • HTTP 프로토콜의 표준을 최대한 활용하여 여러 추가적인 장점을 함께 가져갈 수 있게 해준다.
  • HTTP 표준 프로토콜에 따르는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 Hypermedia API의 기본을 충실히 지키면서 범용성을 보장한다.
  • REST API 메시지가 의도하는 바를 명확하게 나타내므로 의도하는 바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 여러 가지 서비스 디자인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한다.
  •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명확하게 분리한다.

단점 #

  • 표준이 자체가 존재하지 않아 정의가 필요하다.
  • 사용할 수 있는 메소드가 4가지밖에 없다.
  • HTTP Method 형태가 제한적이다.
  • 브라우저를 통해 테스트할 일이 많은 서비스라면 쉽게 고칠 수 있는 URL보다 Header 정보의 값을 처리해야 하므로 전문성이 요구된다.
  • 구형 브라우저에서 호환이 되지 않아 지원해주지 못하는 동작이 많다.(익스폴로어)

RESTful API의 URI 설계규칙 #

  • 소문자 사용 (최소한 대소문자 구분)
  • 하이픈(-, hypen)사용 : 공백 제거
  • 확장자 사용 지양 : 헤더에 값을 넣는다.

    GET /hello HTTP/1.1
    Host: domain.com
    Accept: text/csv
    
  • CRUD는 URI에 사용해선 안 된다.

용어정리 #

HTTP 메소드 #

  • POST : 현재 리소스(Collection)보다 한 단계 아래의 리소스(Document) 생성
  • GET : 현재 리소스(Collection, Document)를 조회
  • PUT : 현재 리소스(Document)의 정보 수정 (해당 자원의 전체를 수정)
  • DELETE : 현재 리소스(Document)를 삭제
  • PATCH : 현재 리소스(Document)를 수정 (해당 자원의 일부를 수정)

REST Header #

  • 반응형 웹 : User-Agent -> Web Client에 무관하게 화면을 제공
  • i18n : Accept-Language ->

응답 코드 #

  • 200 : 클라이언트 요청 정상수행 (응답에 대한 메시지가 포함)
  • 201 : 리소스 생성 요청에 대한 정상처리
  • 202 : 리소스 생성 요청이 비동기적으로 처리될 때 사용
  • 204 : 클라이언트 요청 정상수행 (응답에 대한 메시지 미포함, 삭제요청 따위에 사용)
  • 400 : 클라이언트 요청이 부적절할 때 사용 (부적절한 이유를 응답 Body에 넣어줘야 함)
  • 401 : 클라이언트가 인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호된 리소스를 요청할 때 사용
  • 403 : 클라이언트가 인증상태와 무관하게 응답하고 싶지 않은 리소스를 요청할 때 사용 (400 사용을 권장)
  • 404 :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을 때 사용
  • 405 : 클라이언트가 불가능한 메소드를 사용했을 때

참고 사이트 #

Incoming Links #

Related Data Sciences #

Related Bioinformaticses #

Suggested Pages #

0.0.1_20231010_1_v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