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면역 세포성면역 #

Find similar titles

18회 업데이트 됨.

Edit
  • 최초 작성자
    kehyeong
  • 최근 업데이트
    kehyeong

Structured data

Category
Biology

개념 #

면역계에서 특이성의 유무에 따라 비특이적인 면역과 특이적 면역으로 나눌 수 있다. 비특이적 면역의 경우는 항원의 종류를 인식하여 반응하는 적응면역과는 달리 해당 항원에 대해따라 반응하기 보단 빠른 대응을 위해 외부 물질의 침입에 초기 대응 역할을 담당한다. 내재면역의 경우 세포가 분비하는 물질의 화학적 반응인 체액성 면역반응과 세포가 직접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세포성 면역반응으로 나누어 진다.

면역에서 세포 매개 면역이란 세포가 자기와 비자기를 구별해내서 비자기 세포만을 파괴하는 면역과정을 말한다. B세포와 T세포가 관여하는 적응면역도 범주에 넣을 수 있기때문에 여기선 내재면역의 비특이적인 세포 매개 면역만을 언급하겠다. (출처 위키피디아-세포매개면역)

비특이적인 세포 매개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세포들은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다음의 백혈구 세포들이 반응에 참여하게 되며 대부분이 골수계(조혈모세포가 골수에서 분화)이며 NK cell처럼 림프계(골수에서 생성되나 림프계로 순환)도 존재한다.

세포성 반응의 백혈구 #

대식세포 (macrophage) #

혈액을 떠돌던 단핵구가 조직 세포들의 유도신호(체액성 면역반응관련)에 의해 감염부로 이동해 대식세포로 분화하기도 하고 어떤 대식세포는 병원균을 직접할 수 있는 여러 체내기관이나 조직에 이미 상주하고있다. 대식세포들은 조직에 침투한 세균이나 항원이 될수있는 찌꺼기들을 왕성히 섭식한다. 이 과정 중에 과산화수소, 일산화질소등의 독성물질이 생성되는데 이를 방출한다.

여러 수용체를 지니고있으며 수용체가 표적으로 하는 리간드가 다르며 이로 인해 표적 항원이 결정된다.

Recptor family receptor 예시 기능
Scavenger(collagenous) SR-A Phagocytosis of bacteria and apoptotic cells, endocytosis of modified LDL, adhesion
Scavenger(noncollagenous) CD36 Phagocytosis of apoptotic cells, diacyl lipid recognition of bacteria
GPI-anchored CD14 LPS-binding protein
Integrin CR3 Complement receptor mediated phagocytosis Adhesion to endothelium
Ig superfamily FcR Antibody-dependent binding, uptake, killing
NK-like C-type lectin-like Dectin-1 Beta-glucan receptor, fungal particle ingestion TNFalpha release/interaction TLR2
Toll-like receptors TLR2/TLR4 Response to Peptidoglycan/Response to LPS

<표1. 면역 인식과 관련된 대식세포 수용체 overview (출처: Macrophage receptors and immune recognition. 2005) >

호산구 #

약한 식세포활성을 보이며 기생충 방어 및 과민반응에 관여한다. 기생충을 통째로 섭취할순 없어서 기생충에 접근해 다양한 효소를 분히하여 손상을 입히거나 분해가 되어 쪼개진 세포 파편을 섭식하거나 각종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면역 작용을 담당하고 있느 호산구가 혈액에서 일정 수치보다 높아졌을때 몸에 이상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호산구가 400 cell/ul 이상인 경우 호산구 증가증이라고 하고 이 증상이 심하게 되면 심장손상 및 판막손상, 심내막 심장 섬유증 등합병증을 유발 할 수 있다.

호중구 (neutrophil) #

대식세포에 의해 가장 먼저 유도되어 조직으로 대량 침투해 식세포 작용을 수행한다. 엔도좀에선 과산화 수소와 일산화질소 등의 독성 물질을 만들어낸다. 섭식과정에 포화 상태에 이르게 되면 죽게 되며 조직내 고름을 형성하게 된다. 호중구는 감염이 이루어 졌을때 혈관을 통해 이동하여 인터류킨 8, C5a, fMLP, 류코트라이엔 B4 등 화학 신호를 받아 염증 부위로 이동한다.(출처 위키피디아-호중성과립구)

NK cell (natural killer cell) #

앞서 보인 백혈구 들은 세균 및 기생충에 방어 기작으로 작용했다고 하면 NK cell은 체내를 순환하면서 바이러스에 감염되었거나 자기 세포들이 암세포가 되었을 때 세포막 표면의 비정상적인 단백질을 인지하여 식세포작용을 하진 않고 화학물질을 분비하여 이들을 죽인다. 체내엔 약 1억개의 NK세포가 존재하며 비정상 세포를 인지시 퍼포린을 세포막에 분비하여 세포막에 구멍을 내고 그랜자임을 분비하여 세포질을 해체함으로써 Apoptosis를 일으키거나 세포내부에 물과 염분을 넣어 Necrosis를 일으킨다. (출처. 위키피디아-자연살해세포)

수지상세포 #

피부와 같이 외부 환경과 접촉하는 조직에 상주하고있다. 긴 돌기를 지니고 있으며, 소량의 병원체와 찌꺼기들을 섭식한다. 또한 내재면역 반응이 충분치 않을 때 적응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즉, 전문적 항원제시세포로서 역할을 하여 림프구의 증식 및 분화를 유도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며 바이러스 및 세균 감염 등과 같은 항원에 대한 획득 면역 반응의 유도와 내재면역의 유도에도 관여 한다.

출처 #

  1. 위키피디아-세포매개면역
  2. 위키피디아-호중성과립구
  3. Campbell Biology 9th edition.
  4. Macrophage receptors and immune recognition. Taylor PR1, Martinez-Pomares L, Stacey M, Lin HH, Brown GD, Gordon S. Annu Rev Immunol. 2005;23:901-44.
  5. 수지상세포에 의한 면역조절, 김광순, 김태규, BioWave Vol. 8 No.17 2006, Bric

Suggested Pages #

0.0.1_20240318_1_v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