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개체(표본) #
Find similar titles

Structured data

Category
Biology

개요 #

개체란 생물학적 관점에서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구조 및 기능적 특징을 갖춘 독립된 하나의 생물체를 뜻한다. 개체군 (population) 혹은 (species)을 구성하는 최소한의 단위를 의미한다.

종이나 개체군에서 채집한 개체의 연구를 목적으로 장기간 보관을 위해 다양한 방법의 방부 처리 후 보존 되는 생물의 개체 또는 개체의 일부를 생물표본이라 한다.

생물 표본 제작은 특정한 환경 조건을 가진 서식지에 생존 하는 생물 종의 영구적인 보전을 목적으로 한다. 제작된 생물 표본은 해당 생물 종 존재의 증거이며 해당 종의 특징과 진화 역사의 증거이자 유전 물질을 포함한 유전자원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표본 #

MarkDown

표본 제작 #

생물 표본은 제작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건조표본, 냉동건조 표본, 박제 표본, 액침 표본, 모형표본, DNA 표본, 합성수지 표본 등이 대표적이다. 생물 표본 제작 방식은 생물의 특성과 연구 목적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식물, 곤충, 패각 연체류, 골격 등은 건조 표본을 제작하여도 충분히 원형을 보존할 수 있지만, 해양 생물과 같이 체내 수분함량이 많은 종의 경우는 액침 표본으로 제작하는 편이 원형 보존에 용이하다.

위에서 언급하였듯 곤충, 식물 등은 건조 표본, 해양 생물 등은 액침 표본, 소형 동물은 포유류, 어류, 파충류, 조류 등은 박제 표본을 제작한다. 물론, 연구 목적에 따라 다른 표본을 제작 하기도 한다. 성장 과정이나, 내부 구조 관찰을 위해 식물이나 동물을 액침표본으로 제작하는 것이 일례이다.

표본 제작 시 후속 연구를 위해서 채집지 환경 정보와 채집된 생물의 생물학적 정보를 상세히 기록해 두어야 한다.

채집자, 채집일, 채집된 생물의 종명, 채집지의 상세 주소등을 포함하여 채집지 온∙습도, 채집 위치, 채집지의 환경 (산, 바다, 해안, 강, 늪지 등), 채집지의 위도와 경도 등을 기록한다. 산이나 바다와 같이 채집지가 평지가 아닌 경우 채집한 산의 고도나 바다의 수심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표본으로 제작된 생물의 종의 계통 정보나, 채집된 생물의 연령 혹은 성장 단계 (알, 번데기, 애벌레 등), 생물체의 일부만 표본으로 제작 되거나 DNA등을 추출하여 보관하는 경우는 표본으로 제작에 이용된 조직 정보 등을 기록 한다. 또한 채집한 생물의 특이점이 있는 경우 해당 내용을 기록한다. 필요에 따라 표본 종류에 따라 표본 제작 과정을 기록하기도 한다(표본 보관 용액, 건조 온도 및 시간 등). 아래 표는 표본 제작 시 기록하는 표본 정보 항목을 정리한 것이다.

  • 표본 정보 항목 구분
데이터 타입 해당 항목
문자열형 채집자, 채집지 환경 특징 (강, 바다 등등), 채집지 주소,
생물체 종명, 생물체 학명, 생물체 성별,
채집한 생물체의 성장 단계 (알, 번데기, 성체 등),
표본 종류 (건조 표본, 액침 표본, 박제 표본 등),
표본 조직, 보존 용액, 표본 제작자 등
날짜형 채집일, 생물 표본 제작일 등
실수형 pH (보존 용액 등) , 농도 (핵산 표본), 순도 (핵산 표본), 온도, 습도 등
정수형 위도, 경도 등

표본 종류 #

건조 표본 #

생물체의 외형 혹은 외부 골격을 보존하기 위해 제작하는 표본이며 관찰이 용이하다. 주로 식물이나 곤충, 포유동물의 골격 등의 생물 표본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기법이다. 표본 건조 시 충분한 기간을 두고 건조하지 않으면 곰팡이등에 의한 파손 가능성이 있으므로 최소 2~3주 기간을 두고 충분히 건조한다. 표본 제작 후 종의 학명, 채집자, 채집일, 채집지 정보, 성별, 성장 단계, 해당 표본의 사진 등의 표본 정보를 기록한다.

냉동 건조 표본 #

생물체를 냉각 후 진공상태에서 건조하여 표본을 제작하는 기법이다. 탈수에 의한 표본의 변형이 최소화 되고 장기간 원형을 유지할 수 있으나 냉각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대형 생물에 적용은 어렵다. 표본 제작 후 해당 종의 학명, 채집자, 채집일, 채집지 정보, 성별, 성장 단계, 해당 표본의 사진 등의 표본 정보를 기록한다.

액침표본 #

건조 표본으로 제작하는 경우 파손위험이 큰 수중 생물 등의 표본 제작 시 사용되는 기법 이다. 용기에 알콜 혹은 포르말린 등을 채운 뒤 생물체를 넣어 보관하는 방법이다. 침지 용액은 주로 알코올이나 포르말린을 사용하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한 침지 용액을 사용한다. 표본 제작 시 표본 파손 방지를 위해 표본이 움직이지 않게 솜이나 종이등으로 고정 시키고 침지 용액을 를 완전히 채워 밀봉한다. 표본 제작 후 해당 종의 학명, 채집자, 채집일, 채집지 정보, 성별, 연령이나 성장 단계 등의 표본 정보를 기록한다.

슬라이드 표본 #

현미경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생물을 관찰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표본이다. 균류나 조직을 관찰을 목적으로 표본을 제작하는 경우 많이 사용된다. 슬라이드에 침지 용액을 떨어트려 균류나 조직 등을 용액이 침지 시키거나 건조 후 커버글라스로 덮어서 제작한다.

박제표본 #

수집한 개체를 해부 하여 내장 과 지방을 제거한 뒤 방부제 처리한 뒤 원하는 형태로 고정하여 건조 상태에서 보관 하는 방법이다. 주로 척추동물 (어류, 조류, 파층류, 포유류 등) 의 생물 표본 제작에 주로 사용된다. 제작 방법에 따라 가박제와 진박제로 구분된다. 표본 제작 후 해당 종의 학명, 채집자, 채집일, 채집지 정보, 성별, 성장 단계, 해당 표본의 사진 등의 표본 정보를 기록한다.

DNA 표본 #

채집된 생물체의 일부나 제작된 표본의 일부에서 DNA를 추출한 표본을 뜻한다. 추출한 DNA는 초저온냉동고 (-70℃) 에서 보관한다. 표본 제작 후 종의 채집지, 채집자, 채집일 등의 정보를 기록하고, 시료를 채취한 조직 정보, 핵산 종류, 농도, 순도, 추출일, 추출자, 시료 조정장소 등의 표본 정보를 기록한다.

합성수지표본 #

생체를 냉동건조 후 생체 내 수분과 지질을 제거한 뒤 그 공간에 실리콘이나 에폭시 수지 등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표본을 제작하는 방법이다.

참고자료 #

Suggested Pages #

0.0.1_20210630_7_v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