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노화 데이터베이스 #

Find similar titles

6회 업데이트 됨.

Edit
  • 최초 작성자
    Myunghee Jung
  • 최근 업데이트

Structured data

Category
Database

노화관련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 #

노화는 전세계적인 출산률의 감소와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노령화 사회가 되면서 현대사회에서 핵심 키워드가 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산업에서는 노화를 예방하거나 진행을 느리게 하는 다양한 상품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식품, 화장품, 의약 3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항산화 물질등과 같은 기능성이 있는 식품소재 개발이라든지 피부를 개선 시키는 물질들을 개발한다든지 등의 노력들이 이루어 지고 있다. 이에 항노화 연구 및 기술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실정이지만, 노화관련 지식정보들이 파편화되어 있어 가치있는 노화 및 황노화 관련 상품들이 나오기위해서는 지식의 공유, 소통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국외 노화 관련 데이터베이스 현황 #

현재 국외 노화 관련 데이터베이스는 대략 64개 정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 몇가지를 아래에 설명해 보았다.

  • AgeFactDB : 현재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로 부터 노화관련 데이터 및 논문들을 추출하여 DB화 시켰으며, 유전자, 화학물질, 식이요소등이 노화에 미치는 영향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DAA : Digital Ageing Atals, 노화와 관련된 분자적, 병리적, 생리학적 영향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NetAge : 노화와 관련된 질병과 과정들을 네트워크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GenAge : 노화와 관련된 큐레이션된 유전자정보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human과 다른생물종 데이터를 구분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AgingDB : 국내 유일한 노화 관련 데이터베이스로 일부 노화관련 데이터를 모아둔 부산대학교에서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참고자료 #

http://info-centre.jenage.de/ageing/databases.html#Biological_Data

Incoming Links #

Related Articles #

Related Bioinformaticses #

Suggested Pages #

0.0.1_20230725_7_v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