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러지 #
개요 #
알러지 (Allergy, 알러지성 질환)는 면역계가 환경에 일반적으로 무해한 물질에 과도한 항원항체반응을 일으켜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크게 항체가 관여하는 체액성 반응 (I, II, III 형)과 T 세포와 대식세포가 관여하는 세포매개 반응 (IV형)으로 나눌 수 있다. 같은 체액성 반응일지라도 면역반응이 발생하는 위치가 다르다. I형과 II형은 세포 표면에서 반응이 일어나고, III 형은 세포 외액에서 일어난다. IV형은 주로 T 세포와 대식세포 (macrophage)가 관여하는 세포매개 면역반응으로 항원에 노출된 후 대체로 수일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지연형 반응이다.
알러지를 일으키는 물질인 알레르겐 (Allergen)은 일반적으로 꽃가루와 특정 음식을 포함하지만, 금속 및 기타 물질 (먼지, 햇빛 등)도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알레르겐이 체내에 들어오면 항체가 만들어지고 항원항체반응이 일어나게 되면서 알러지 증상이 발생한다.
분류 #
Pathogen | Type | Effector mechanism | Possible untoward consequences |
---|---|---|---|
Gastrointestinal or respiratory tract multicellular, metazoan parasites | Type I | Orchestrated by Th2 cells. Effectors include IgE antibody (þ IgE1 in mouse), mast cells, Paneth cells, mucosal glands, smooth muscle cells | Anaphylaxis, hay fever, asthma |
Extracellular microorganisms (staphylococci, streptococci) | Type II | Antibodies to surface antigens of microorganisms, C5a release, chemotaxis of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PMNs) to site of infection | Certain drug reactions; the vasculitides such as polyarteritis nodosa; Graves disease (agonist antibody to thyroid stimulating); myasthenia gravis (antagonist antibody to acetylcholine receptor) |
Circulating viral particles, such as in viremia | Type III | Antibodies complexing with and inactivating circulating viral particles; subsequent solubilization by C'. | Immune complex disease, such as in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
Viral or intracellular bacterial infection | Type IV | CD4 and CD8 cells recognizing MHC antigens presenting viral peptides | Insulin dependent diabetes; Hashimoto’s thyroiditis |
<표 1. Infection-centric view of immune responses (출처: TRENDS in Immunology)>2
메커니즘 #
제 1형 과민반응 (I형) #
알레르겐과 조직 세포 간의 항원항체반응으로 시작된다. 5가지 종류의 항체 중, IgE에 의해 매개되는 과민반응이 제 1형 과민반응이다. 알레르겐은 비만세포와 호염구에 결합한 IgE의 교차결합을 매개하여 혈관작용 매개체의 분비를 유도한다. IgE에 감작된 세포는 알레르겐이 재차 유입되어 이들 세포의 표면에 있는 IgE와 결합한다. 그 결과 일련의 반응이 일어나서 최종적으로 이들 세포 내의 여러 화학 매체들이 이들 세포 내의 여러 화학 매체들이 유리되어 즉시형 과민반응이 발생하게 된다.
제 1형 과민반응에는 건초열, 천식, 두드러기, 음식 알레르기, 습진과 같은 전신 아나필락시스와 국소적 아나필락시스 등이 포함된다.
제 2형 과민반응 (II형) #
세포 표면에 있는 알레르겐 성분과 반응하는 항체에 의해 시작되는 반응으로서 세포독성 반응이라 일컫는다. 알레르겐이 적혈구나 혈소판 등의 세포에 부착되고, 이때 생산되는 항체의 종류가 IgG 혹은 IgM인 경우에 모체를 활성화시켜 과민반응이 시작된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세포표면에 있는 알레르겐과 결합한 항체가 세포독성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세포를 자극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제 2형 과민반응은 세포 표면에 있는 항원에 대한 IgG 항체의 생성으로 시작되지만, 후속 결과는 매우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 즉, 한쪽에서는 세포독성을 나타내고 다른 한쪽에서는 세포의 기능을 변화시켜 본래의 세포 기능을 증가 혹은 감소시킨다.
제 2형 과민반응으로는 수혈반응, 태아적모구증, 자가면역 용혈 빈혈 등이 있다.
제 3형 과민반응 (III형) #
다양한 조직에 침착된 항원항체 복합체는 보체활성과 대량의 중성구 침윤에 의해 매개되는 염증반응을 연이어 유도한다.
제 3형 과민반응에는 국소적 아르투스 반응과 형청병, 괴사혈관염, 사구체신염, 류머티스성 관절염 그리고 전신 홍반루푸스와 같은 반응 등이 포함한다.
제 4형 과민반응 (IV형) #
감작된 T 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이다. T 세포는 특정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직접 세포 손상을 유발하는 큰포식세포나 TC 림프구를 활성화시킨다. 이들 세포는 주로 인터페론- (interferon-gamma)와 인터루킨 (interleukin)-2를 분비하여 염증반응을 일으키는데, 접촉피부염 (contact dermatitis)이 대표적인 예이다.
제 4형 과민반응에는 접촉성 피부염, 결절성 병변 그리고 이식 거부반응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