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면역 체액성면역 #

Find similar titles

19회 업데이트 됨.

Edit
  • 최초 작성자
    kehyeong
  • 최근 업데이트
    cloudgo

Structured data

Category
Biology

개념 #

면역계에는 특이성에 따라 방어 종류를 두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1차 방어 작용으로서 병원체의 종류를 가리지 않고 작용하는 비특이적 면역 (내재면역 혹은 선천면역) 이고 다른 하나는 내재면역 수준에서 병원균을 제거할 수 없을 경우 활성화되며 병원체의 종류를 인식하고 이에 따라 반응하는 특이적 면역 (적응면역) 으로 나눌 수 있다.

내재면역의 경우 세포가 분비하는 물질의 화학적 반응인 체액성 면역반응과 세포가 직접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세포성 면역반응으로 나누어 진다.

체액성 면역의 범주 #

체액성 면역은 백혈구의 일종인 B세포에 의해 만들어진 항체에 의해 이루어지는 면역반응 (출처. 위키피디아-체액성면역) 을 언급되기도 하지만 비특이적 면역과 물질의 화학적인 반응을 고려했을 때, 보체 와 비만세포와 호염구에서 분비되는 히스타민, 손상받은 세포에서 분비되는 키닌 등 1차 방어 체계에 작용하는 분비 물질도 체액성 면역의 범주에 속한다.

보체 (Complement system) #

보체란 간세포에서 대부분이 생성되며 혈액을 떠돌아 다니는 혈장 단백질이다. 평소는 불활성인 Zymogen 상태로 있다가 항원(세균) 침입 시 활성화 된다. 활성화가 되면 체액성 반응이 일어나며 보체 활성화 경로는 3가지로 분류가 된다. 1. 대체 경로 : 세균의 세포벽 성분에 활성화된 보체가 세균 표면에 부착 1. 렉틴 경로 : 세균 표면의 만노오스(당)에 결합하여 활성화 1. 고전 경로 : 항원에 항체가 특이적 결합이 일어나면 (적응면역) 항체에 보체가 붙어 활성화 활성화 경로는 다르지만 보체가 활성화가 되면 세균의 막에 MAC (Membrane Attack Complex) 통로를만들어 세균에 손상을 낸다.

Image

그림 1. 보체계 (출처: researchgate )

인터페론 (Interferon) #

사이토카인의 하위 개념이며 면역 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의 총징이며, 체액성 면역을 담당하고 있는 이 단백질은 대상이 외부에서 침입하는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및 기생충으로 구체적이다. 인터페론은 세포안에서 바이러스가 증식되는 것을 막기도 하며 간접적으로 NK cell 혹은 자연살생세포대식세포등의 백혈구 세포들을 활성화 시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역할도 한다 (보체의 항체 유도 기능과 유사). (출처 위키피디아-인터페론)

히스타민 (Histamine) #

백혈구의 종류인 호염구와 비만세포에서 방출되며 소동맥을 이완시켜 열과 발적현상을 일으키고 이에 따라 혈관 내벽을 구성하는 내피세포와 함께 순환하고 있는 백혈구들의 결합을 촉진 시킨다. 또한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높여 항미생물 단백질 (Antimicrobial peptide) 및 보체 등을 상처부위로 이동을 쉽게 도와준다. 이와 함께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

히스타민의 수용체는 H1에서 H4까지 4종류가 있으며 이들 수용체와 결합했을때 위의 반응들이 일어나게되며 어떠한 수용체에 결합하느냐에 따라 반응들이 달라지게된다. 예를들어 H4 수용체에 결합시 T림프구를 포함한 백혈구들을 염증 부위에 모이게 하여 면역 반응의 증폭이 일어난다.

사이토카인 (Cytokine) #

사이토카인은 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들의 총칭이며, 이에 대한 수용체를 지닌 주변 세포들에게 신호전달을 유도하여 영향을 미친다. 면역 반응에서의 사이토카인은 상처나 감염 부위로 혈류의 흐름을 증진시켜 부종과 염증을 일으킨다.

염증반응 (Inflammatory response) #

상처난 곳이 열이나고 붉게 되며 (발적) 부어오르며 (부종) 통증을 느끼는 반응이며 이는 생체 조직의 손상에 대한 국소적인 방어 반응이다. 이 반응은 위의 체액성 면역에 속하는 다양한 분비 물질에 의해 백혈구들이 활성화되어 손상된 조직을 파괴시키고 혈액이 몰리면서 부어오르게 되며 포식한 백혈구들이 죽으며 고름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Image

그림 2. Steps of Inflammatory response (출처: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the Human Body )

출처 #

  1. zum 학습백과 1차 방어 작용
  2. Campbell Biology 9th edition.
  3. 위키백과 염증반응
  4. Pathogenesis of allergic conjunctivitis and trends in its treatment. HB. Hwang. J Korean Med Assoc. 2017 Mar;60(3):251-256.

Suggested Pages #

0.0.1_20230725_7_v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