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면역 DC lineage development #

Find similar titles

6회 업데이트 됨.

Edit
  • 최초 작성자
  • 최근 업데이트

Structured data

Category
Biology

수지상세포 (Dendritic cell, DC) #

수지상 세포 (Dendritic Cell, DC)는 phage나 virus를 직접 targeting하는 type I interferon response 기능을 갖는 innative immune과 antigen presenting을 통해 T cell 분화를 촉진하는 adaptative immune system을 연결하는 주요 인자로 알려져 있다. Bone marrow의 hematopoietic stem cell에서 시작하여 초기 common myeloid progenitor로 발달되고 이후 common dendritic cell progenitor를 거쳐 크게 cDC1, cDC2, 그리고 pDC의 subset으로 분화 된다. 이때 CD8+ T cell 에 antigen cross-presentation을 담당하는 cDC1과 CD4+ T cell에 antigen presenting의 주요 기능을 갖는 cDC2는 bone marrow가 아닌 tissue로 옮겨져 해당 tissue에서 최종 발달되어 그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 pDC는 bone marrow에서 최종 발달되어 type I interferon response를 담당하는데, 이들의 분화와 발달은 주요 전사조절인자들의 상호 작용을 통해 조절된다.

Image


< 출처 : Front. Immunol., 19 October 2015 | https://doi.org/10.3389/fimmu.2015.00533>

DC lineage #

수지상 세포는 크게 3가지로 분류되는데 classical DC 1, 2 그리고 plasmacytoid DC (pDC)로 나뉜다. DC subset 분화 메커니즘에 비교적 잘 밝혀진 Classical DC1 (cDC1) lineage는 Id2, Irf8, Batf3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igure 1). 이중 가장 대표적인 전사조절인자인 Id2는 단순히 cDC1 발달에만 관여하지 않고 Classical DC2 (cDC2)로의 발달을 저해하는가 하면 E2-2와의 상호작용으로 Plasmacytoid DC (pDC) 발달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d2의 과발현은 bone marrow에서 Common DC Progenitor (CDP)를 통해 PreDC로 분화 된 후 최종 cDC1로의 분화를 촉진하는 Flt3L-dependent development 메커니즘을 통해 이뤄진다. 또한, 이렇게 과발현 된 Id2는 앞서 언급된 것과 같이 상대적으로 cDC2와 pDC로의 분화를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mage

Suggested Pages #

0.0.1_20230725_7_v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