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뱅크
#
Find similar titles
Structured data
- Category
- Biology
Table of Contents
바이오뱅크 #
바이오뱅크란? #
바이오뱅크는 생물을 의미하는 접두어 '바이오(bio)'와 은행을 뜻하는 '뱅크(bank)'의 합성어로, 국내에서는 보통 바이오뱅크 대신 인체유래검체은행, 인체유래물은행, 인체유래자원은행 등으로 부른다.
'인체유래물'란 사람에게서 채취한 혈액, 혈장, 혈청, 소변, 조직, 세포 그리고 이들에서 분리한 DNA, 단백질 등의 물질을 의미한다.‘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2011년 12월 개정). 반면 ‘인체 자원’은 유래물에 관한 개인의 임상 정보 및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을 통해 생산된 역학, 유전체 분석 정보를 포함한 개념이다.
인체 유래물과 바이오뱅크 #
인체유래물은 사람의 몸에서 수집하거나 채취한 조직, 세포, 혈액, 혈청, 염색체, DNA 등과 이를 통해 얻는 다양한 정보이다. 인체유래물은 생명공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로운 의료기술과 신약을 개발하는 초석으로 여겨진다.
바이오뱅크는 이러한 인체유래물과 관련 역학 정보와 임상 정보를 수집해 보존하고 이를 직접 이용하거나 타인에게 제공하는 기관을 가리킨다.
정밀의학과 바이오뱅크 #
정밀의학이란 개인의 유전자, 환경, 생활방식 등의 특성에 맞춘 최적화된 의료기술을 뜻한다.
가령 똑같은 항암제라도 환자의 특성에 따라 효능·부작용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데, 정밀의료가 실현되면 항암제를 투여하지 않고도 미리 어떤 효능·부작용이 나타날지 예상이 가능해진다.
정밀의학 실현의 기본 조건은 빅데이터 확보에 있다. 의약품·치료 등의 효능·부작용이 어떤 특성과 연관돼 있는지 확인하려면 수많은 환자의 데이터를 비교·분석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정밀의학에 필요한 바이오뱅크 구축 사례 #
미국 #
미국은 국립보건원의 지원 아래 1978년 이미 ‘하버드 뇌 조직 은행’(HBTRC)을 설립, 알츠하이머, 헌팅턴, 파킨슨병 등 환자의 뇌를 수집했으며 조직 샘플 1만4천여 개를 연구자에게 제공했다. 여기서 나온 논문이 395편에 달한다.
영국 #
영국은 2007∼2012년에 1천150억원을 투자해 50만 명분의 자원과 정보를 확보했다. 앞으로 국가바이오뱅크 프로젝트로 25년간 추적 관찰할 예정이다.
중국 #
중국 선전에 위치한 세계 최대 유전체 연구 의학 연구원들은 빠르고 저렴한 비용으로 개인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규명해서 희귀 질환 환자에게 맞춤형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BGI게놈은 이미 100만 명에 달하는 중국 국민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규명했다. 또한 BGI게놈은 인텔과 알리바바그룹의 도움을 받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최초의 정밀 의학용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인 BGI온라인을 구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