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곤충학
#
Find similar titles
- (rev. 3)
- Ji-hye Lee
Structured data
- Category
- Biology
법곤충학(Forensic entomology)의 정의 #
법적인 문제와 연관된 곤충학적 내용을 연구하는 학문. 즉, 곤충학적 증거를 활용하여 법적인 문제 해결을 돕는 학문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법곤충학이라고 하면 법의곤충학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 활용 케이스는 사후경과시간(Postmortem interval; PMI) 추정이다.
법곤충학의 분야 #
- 도시곤충학
인간이 만든 건축물이나 인간이 살아가는 살아가는 환경에 관계되는 곤충과 그 관련 생물들로 인한 법적인 문제를 다룬다. - 저장식품곤충학
식품에 오염되거나 혼입된 곤충으로 인해 일어나는 문제들을 다룬다. - 법의곤충학
변사사건에 관련된 곤충학적 증거를 활용하여 범죄수사에 도움을 주는 학문이다.
법의곤충학이 주로 관여하는 업무는 1) 사후경과시간(PMI)이나 사망장소의 추정, 2) 돌연사 가능성이 있는 사건, 3) 명확한 원인을 모르는 교통사고, 4) 곤충을 범죄에 악용하는 경우 등이 있다. 이렇게 범죄 수사에 있어 곤충학적 증거가 활용되는 다양한 경우 중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사후경과시간(PMI)의 추정이다.
시신의 부패단계별로 유인되는 곤충의 종류가 다르다는 점과 시신에 산란된 곤충, 특히 시식성 파리(necrophagous fly)의 알이 유충, 번데기로 자라는 속도가 온도 의존적이며, 종에 따라 다르다는 점을 주로 활용하고 있다.
법곤충학 국내외 연구 현황 #
-
국내
1990년대부터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동물사체에 유인된 곤충상 등 법곤충관련 연구가 진행되었고, 실제 사건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는 비교적 최근에 시작되었다. 지난 20년간 약 40여편의 관련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대부분이 파리의 종 구분을 위한 형태학적 연구와 파리의 DNA를 이용한 연구이다.
실제적용사례로는 전 세모 그룹 회장 유모씨의 사망 추정시간을 밝혀낸 것이 있고, 세월호 관련 사건에도 쓰여 사후 경과시간(PMI) 추정에 필요한 연구의 국내 도입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사후 경과시간(PMI) 추정을 하기 위해 파리 유충의 성장 속도에 대한 자료가 필요하며, 간편하게 곤충의 종을 구분할 수 있어야 곤충학적 증거를 수사에 활용할 수 있는데 한국산 파리 성장 속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고, 파리 종을 구분 할 수 있는 전문가도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최근 들어 파리의 종별 유충성장속도 분석 연구가 진행중이고, 곤충상에 대한 분석연구, 한국산 시식성 딱정벌레의 DNA 바코딩 작업 등이 진행중이다. -
국외
영국, 독일, 이탈리아 등의 나라가 중심이 되는 유럽 법곤충학회와 미국 법곤충학회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SCI 수준의 발표된 논문수와 연구자수는 1970년대부터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약 700여 편과 약 300여명에 이른다.
사체에 유인되는 곤충종류, 발생 양상, 성장 속도 등 사체생태학(carrion ecology)과 관련된 연구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정보들을 실제 사건에 적용한 사례들과 기준 매뉴얼, 최소사후경과시간(PMI)을 추정하기 위해 고려해야할 사항 등 연구 및 적용 범위도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Reference #
박성환, 신상언, "한국산 시식성 파리의 분자생물학적 종 구분법 연구 현황", Korean J Leg Med, 2013, 37:177-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