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
Find similar titles
- (rev. 8)
- jmkang
Structured data
- Category
- Biology
정의 #
종의 정의 #
종이란 서로 다른 생물을 구별하는 생물학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은 생물 분류의 기본이 되는 단위로 형태학적 주요 특징과 분화된 조상이 동일하며, 자연 상태에서의 교배를 통해 생식능력을 가진 자손을 생산할 수 있는 개체들의 무리를 의미한다.
종의 정의는 생물학적 종 개념을 기본 바탕으로 하지만, 모든 경우에서 생물의 생식기능의 유무를 판단하기 어려워, 종 분류 시 형태학적 특징과 유전학적 특징인 DNA 염기서열이나 아미노산 서열 등과 같은 분자생물학적 근거를 중요한 분류 형질로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종의 정의는 생물학적 분야에 따라 크게 생물학적 종, 유형학적 종, 계통학적 종으로 구분되어 정의되어 진다.
생물학적 종 #
생물학적 종은 개체의 생식 양상(reproductive mode)에 근거하여 종을 규정한다. 즉, 형태학적 유사성이 아니라 개체 간의 교배를 통하여 생식능력을 가진 자손의 생산유무를 기준으로 종을 구분한다. 이는 마이어의 종 정의를 따른다.
- Ernst Walter Mayr (독일 생물학자, 1904~2005) 종의 개념
- 서로 생식이 가능하고
- 서로 간 자발적 생식활동을 하며
- 생식활동을 통해 태어난 자손이 생식능력을 가짐
이 개념에서 종은 상호교배(interbreeding)가 가능한 집단으로 다른 종과 생식적 격리(reproductive isolation) 상태로 정의된다. 따라서 상호교배가 가능하나 상호교배를 통해 생산된 자손이 생식능력을 상실한 경우 동일한 종으로 간주할 수 없다.
생식능력을 상실한 자손의 예시로 암호랑이와 수사자나 수호랑이와 암사자간의 인공교배를 통한 라이거, 타이곤, 암말과 수당나귀 사이의 노새와 같은 경우가 있다.
이렇게 서로 다른 종의 개체 간의 교배를 통해 생산된 생식능력이 없는 자손을 종간 잡종이라 정의하며, 생식능력이 없기 때문에 어버이와 동일한 종이 아니어서 하나의 독립된 종으로 분류하지 않는다.
- 상호교배(interbreeding) : 자연 상태에서의 교배
- 생식적 격리(reproductive isolation) : 자연 상태에서 교배가 불가능한 상태(상호교배의 반대 개념)
생물학적 종의 한계 #
화석으로 발견되는 종은 생식적 격리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 또, 원핵생물처럼 무성 생식을 하는 종도 확인할 수 없다. 형태적으로나 생태적으로 뚜렷이 구분되지만 유전적 흐름이 일어나는 종도 있기 때문에 생물학적 종을 강조하면 진화의 기본 원리인 자연선택이 무시될 수도 있다.
유형학적 종 #
유형학적 종의 개념은 형태학적으로 동일하고 구조적으로 유사한 개체들의 집단을 의미하며, 종의 근본적인 속성에 근거하여 종을 규정한다. 즉, 해당 개체들의 근본적 속성이나 특징을 해당 개체들을 분류하는 대표 유형으로 규정하여 종을 구분한다.
유형학적 종의 개념에서는 일반적으로 dynamic variation(동적 변이)를 수용하고 있어 동일한 종이라 할지라도 지리적으로나 시간적으로 다양한 변이로 인한 동일 분류군내 집단의 구분이 있을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유형학적 종의 개념은 가장 널리 사용되며, 생존표본이 없는 화석 등을 분류할 때 바로 적용이 가능한 개념이나 연구자의 주관적인 생각이 반영될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생물의 분류 #
생물분류의 정의 #
생물의 종을 생식, 형태학적 구조 등의 유사성을 특징으로 하여 단계적으로 묶어 작은 범주에서 큰 범주로 계층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종’(species)의 가장 작은 범주부터 ‘역(domain)의 가장 큰 범주까지 총 8단계로 분류되어 진다. 8단계 분류 순서는 [ 종 < 속 < 과 < 목 < 강 < 문 < 계 < 역 ] 순으로 분류의 범위가 넓어지며, '종'에 가까워질수록 동일한 분류 계급에 해당하는 생물 들은 서로 간 매우 밀접한 유연관계를 보인다.
생물분류 체계(출처 : ZUM 학습백과-생물 분류와 종의 개념)
세부분류 #
생물분류의 8단계 분류법의 한계로 인해 각 단계별로 상(super-), 아(sub-), 하(infra-) 등의 접두어를 붙여 생물분류를 좀 더 세분화하여 중간단계를 두기도 한다.
상(super-) | 아(sub-) | 하(infra-) |
---|---|---|
. | 아계(Subkingdom) | 하계(Infrakingdom) |
상문 (Superphylum) | 아문(Subphylum) | 하문(Infraphylum) |
상강(Superclass) | 아강(Subclass) | 하강(Infraclass) |
상목(Superorder) | 아목(subordo) | 하목(Infraorder) |
상과(Superfamily) | 아과(Subfamily) | 하과(Infrafamily) |
. | 아속(Subgenus) | . |
. | 아종(Subspecies) | . |
생물다양성 #
생물다양성의 의미 #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의 제2조(정의)에 따른 생물다양성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생물다양성’이란 육상생태계 및 수생생태계와 이들의 복합생태계를 포함하는 모든 원천에서 발생한 생물체의 다양성을 말하며, 종내(種內)·종간(種間) 및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한다.
즉, 생물다양성이란 유전다양성(Genetic diversity), 종 다양성(Species diversity), 생태계 다양성(Ecosystem diversity)을 총체적으로 아울러 지칭한다.
- 유전다양성 : 종내 개체들 간의 유전적 변이 현상을 의미
- 종다양성 : 지역 내 종 다양성 정도 및 분류학적 다양성
- 생태계 다양성 : 산, 바다, 호수, 사막, 습지 등의 서식환경의 다양성과 특정 지역 생태계에 속하는 전체 생물 및 무생물의 상호작용에 관한 다양성을 의미
생물다양성의 의미(출처 : 지속가능발전포털)
생물다양성의 필요성 #
인간의 삶은 생물다양성에 둘러싸여 각 종 생물자원을 이용하며 살아가고 있으며, 생태계를 통해 인간은 식량, 섬유, 의약, 휴양 등을 제공받고 생물자원을 이용하여 이익을 추구한다. 이렇듯 생물다양성은 인간의 생활의 대부분을 지탱하고 있는 요소이다. 그러나 무분별한 생물자원의 남용으로 전 지구적으로 생물다양성의 손실이 발생하였고 이로인해 지구상의 생물들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매우 위협적인 상황에 도래했다. 이에따라 생물다양성의 손실이라는 위기상황 속 전 세계적으로 생물다양성 보존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1992년 각국의 정상들이 모여 생물 다양성 협약(CBD) 논의를 시작으로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해 전 세계적인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