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렴 진화
#
Find similar titles
- (rev. 5)
- hey
Structured data
- Category
- Biology
Table of Contents
수렴진화 #
생물학적으로 전혀 다른 종이, 비슷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진화하여 결과적으로 외형이나 생활사 등이 비슷하게 된 것을 일컫는 용어이다. 대표적으로 고래와 물고기, 박쥐와 새로 이들은 생물학적으로는 상당히 다른 생물이지만 물속에서 살기 위해, 날기 위해 진화하다 보니 겉모습이 비슷하게 변했다. 이런 수렴 진화를 거친 생물들은 외형상으로는 대체로 비슷하므로, 한 종으로 알고 있다가 동물학이 발달하면서 여러 관찰 등을 통해 수렴 진화였다는 게 밝혀지는 경우가 많다. 극단적인 경우는 현대에 와서 유전자 단위까지 조사해 본 후에야 이렇게나 비슷하게 생겼는데 사실 아무 상관도 없는 종이었다는 경우도 있다.
예시 #
동물에서 #
늑대, 주머니 늑대 #
각각 식육목 개과, 주머니고양이목으로 구머니늑대과이지만 외양 그대로 다른 대륙의 갯과 동물에 상응하는 만큼 골격마저 비슷하게 생겼다고 한다.
개미핥기, 땅돼지, 가시두더지 #
각각 유모목, 관치목, 단공목으로 별개의 종류이지만 모두 길고 뾰족한 주둥이를 가지고 있으며 개미나 흰개미를 혀로 핥아서 잡아먹는 점이 비슷하다.
날다람쥐, 하늘다람쥐, 비늘꼬리다람쥐, 날원숭이, 유대하늘다람쥐 #
모두 피막을 지니고 활강하는 포유류이지만 계통은 서로 다르다. 앞의 셋은 설치목인 반면 날원숭이는 날원숭이목이고 유대하늘다람쥐는 유대류다. 그리고 설치목인 앞의 셋도 세세히 파고들면 차이가 있다. 날다람쥐와 하늘다람쥐가 다람쥐과인 반면 비늘꼬리다람쥐는 아예 다람쥐과가 아니며, 같은 다람쥐과인 날다람쥐와 하늘다람쥐 또한 각각 날다람쥐속과 하늘다람쥐속으로 속 단계에서 별개의 종류다.
두더지와 두더지쥐, 두더지땃쥐 #
두더지쥐는 뻐드렁니쥐과, 장님쥐과, 쥐과, 비단털쥐과에도 두더지 같은 생활을 하는 쥐들이 있다.
식물에서 #
다시마, 미역 등 갈조류 #
겉보기에는 흔히 접할 수 있는 식물과 생김새도 비슷하고 광합성도 하지만, DNA 분석을 통해 우리가 흔히 식물이라고 칭하는 생물과는 거리가 매우 먼 남남이라는 게 밝혀져서 유색피하낭계(크로말베올라타)를 거쳐 SAR 상군(supergroup)의 하위인 부등편모조류로 분류한다. 오히려 짚신벌레가 더 가까운 친척이다.
무, 당근, 비트 #
무는 십자화목 배추과이고, 당근은 산형화목 미나리과이며, 비트는 석죽목 비름과이지만, 모두 크고 굵은 뿌리에 영양분을 저장하며, 그에 따라 뿌리가 식용으로 소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