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슈퍼박테리아 #
Find similar titles

Structured data

Category
Biology

슈퍼박테리아(Super bacteria)란? #

슈퍼박테리아(Super bacteria)의 정의 #

일반적으로 항생제 내성균 즉, 다수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져 어떠한 강력한 항생제에도 저항하는 균으로 최근에는 슈퍼버그(Superbug), 다제내성균 이라고도 한다.

박테리아의 구성 #

대부분의 박테리아는 단일세포이며, 모양과 크기가 다양하다. 박테리아의 세포 구조는 세포막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으며 일반적인 세포의 형태와 비교했을 때 핵막, 미토콘드리아, 골지체, 엽록체 등을 가지고 있지 않다. 세포막 밖은 세포벽으로 둘러싸여 있고 세포벽은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으로 구성되어져 삼투압에 의한 세포 파멸을 막는 역할을 한다.

항생제 내성(Antibiotic Resistance) #

미생물이 항생제에 노출되어도 생존할 수 있는 약제 내성을 말한다. 항생제를 자주 사용하다 보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세균들이 살아남거나, 돌연변이를 통해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게 된 균주들이 생겨나고 치료를 위하여 더 강력한 항생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그러다가 결국 어떤 강력한 항생제에도 저항할 수 있는 슈퍼박테리아가 생겨나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위키백과 참조

(추가)항생제 내성에 관한 일반 상식 #

  1. 슈퍼 박테리아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으나, 현실적으로 큰 위협을 느끼지 못한다. 그 이유는?

    • 항생제 내성균이 몸속에 있거나 외부에서 침입하더라도, 건강한 정상인의 경우 면역 체계에 의해 정상 세균이 내성균의 활동을 억제한다. 하지만 면역력이 저하된 중환자의 경우에는 최악의 경우 사망에 이를수도 있다.
  2. 항생제를 가능하면 덜 먹어야 하는 것인가?

    • 가능하다면 항생제 복용을 줄여야 하지만, 질병에 의해 처방받은 항생제는 증상이 호전되더라도 끝까지 복용해야 한다. 항생제로 인해 증상은 호전되었을 수 있으나 세균 자체가 죽은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항생제 복용을 중단하면 세균이 죽기는 커녕 더 강한 항생제 내성균으로 바뀔수도 있다.
  3. 일상생활에서 주의해야할 사항은?

    • 2015년 메르스 사태와 같이 항생제 내성균에 감염될 가능성이 가장 큰 곳이 병원이기 때문에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종합병원에 방문하는 것을 자제할 필요가 있다.
    • 항생제 내성균은 보통 피부 접촉을 통해 감염되기 때문에 감염 예방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손 씻기이다.

감염증상 #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되어 국가감시체계로 관리되는 슈퍼박테리아 6종

  1. 황색포도상구균(VRSA, MRSA)

    • MRSA : 주로 피부 접촉으로 감염되며, 얼굴이 빨갛게되며 붓고 열이 남
    • VRSA : 복통, 구토, 설사 같은 식중독 증상
  2. 장구균(VRE)

    • 복통, 설사, 소변 시 통증 혹은 열감이나 화끈거림
  3.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 고열을 비롯하여 다양한 증상
  4. 아시네토박터균(MRAB)

    • 발열, 오한, 기침 등
  5. 장내세균(NDM-1)

    • 기침, 고열 등

(추가) 기술 동향 #

  • 2017년 5월 15일 미세형상제작기술을 토대로 한 바이오칩으로 세균의 항생제 내성 여부를 빠르게 진단하는 기술 개발(서울대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권성훈교수 연구팀)
    • 바이오칩과 자동화된 분석 플랫폼으로 환자에게서 나온 세균이 항생제와 만났을 때 어떻게 반응하는지 6시간 안에 확인하는 데 성공

국내외 동향 및 대응책 #

세계보건기구(WHO) #

  • 2015년 5월 세계보건기구 총회를 통해 항생제 내성에 대한 대응방안 등 향후 계획을 담은 결의문 채택
  • 각국의 관심 및 국가계획을 수립하도록 권고
  • 2016년 유엔총회에서는 항생제 내성 관련 고위급 회담 개최

유럽연합(EU) #

  • 2011년 'EU Action Plan' 발족
  • 2012년 새로운 항생제 개발을 위한 NB4BB(New Drugs for Bad Bugs) 프로그램 운영
  • 항생제 내성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항생제 인식의 날(EAAD) 지정

미국 #

  • 2014년 3월 항생제 내성 관리를 위한 국가 전략 발표
  • 2016년 병원에서의 감염관련 상황 분석

질병관리본부 #

  • 국내의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에서 감염관리지침에 따라 병원체 발생 시 신고

보건복지부 #

  • 2016년 5월 13일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 협의체' 발족
  • 범부처 회의를 거쳐 '2017~2021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 확정 계획

참고문헌 #

  1. 슈퍼박테리아 감염 및 그에 관한 대응책, BRIC
  2. 슈퍼 박테리아, 발생 원인과 대책은, 한겨레
  3. 위키백과
  4. 항생제가 낳은 괴물, 슈퍼 박테리아, 네이버포스트
  5. 서울대연구팀, 슈퍼박테리아 하루 내 진단하는 기술 개발, 연합뉴스
0.0.1_20210630_7_v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