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원형질체
#
Find similar titles
- (rev. 1)
- hmkim
Structured data
- Category
- Experiment
정의 #
원형질체(protoplast)는 고대 그리스어 πρωτόπλαστος (prōtóplastos, "first-formed")에서 유래되었으며, 1880 년 Hanstein이 세포벽을 제외한 전체 세포를 지칭하기 위해 만든 생물학적 용어이다. 식물세포의 경우 세포 사이에 펙틴으로 분리되어 있는데, 펙틴과 세포벽을 모두 제거하면 식물원형질체가 된다. 구형체(spheroplast)와 다른 점은 구형체에는 세포벽 성분이 일부 남아있다.
분리 방법 #
고전적인 방법으로는 삼투압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고농도의 sucrose 용액에 담그면 원형질체가 세포벽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면 이를 물리적이나 기계적인 방법으로 힘을 가해 원형질체를 떼어낼 수 있다. 하지만 노력과 시간에 비해 소득이 적어 효소로 펙틴 및 세포벽 구성물질을 녹여내는 방식을 사용한다.
연구 분야 #
식물원형질체는 세포벽에 의해 연구가 어려운 막에 대한 연구에 사용할 수 있다. 유전자 도입 및 형광 관찰에서 용이하고, 평판 배양이나 현탁액 배양 등을 통해 형질 변환 캘러스를 만들어 완전한 식물체를 만들어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