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신증후군출혈열 #
Find similar titles

Structured data

Category
Experiment

신증후군출혈열(HFRS: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

정의 #

유행성출혈열로 알려진 열성질환으로, 한타바이러스(Hantavirus) 속의 바이러스에 의해 전파된다. 한국전쟁 중 UN군에서 수 천 명의 원인 불명 급성 출혈열 사망자가 발생하면서 알려졌으며, 이후 1976년 한국의 이호왕 박사에 의해 원인 병원체가 밝혀지게 되었다. 소련의 출혈성 신우신염, 중국의 송고열, 일본의 유행성출혈열 등 한국에서 발생한 출혈열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질병들의 원인이 한타바이러스 혹은 유사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된다는 사실이 입증되어 1982년 세계보건기구에서 위의 질병들을 통칭하여 신증후군출혈열로 명명하였다.

현황 #

매년 유럽과 아시아에서 10여 만 명이 이 질병으로 입원하는 것을 추정하고 있으며, 감염된 설치류의 분비물로 분비되는 바이러스를 사람이 흡입하여 발생하게 된다. 1주에서 3주의 잠복기를 거쳐 발열-저혈압-핍뇨-이뇨-회복의 5단계를 거치게 된다. 주로 가을철 농촌지역에서 들쥐 때문에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백신접종을 통해 예방이 가능하다.

병원체 #

Bunyaviridae과의 Hantavirus속에 포함되며 원형인 한타바이러스를 포함하여 20여 종이 한타바이러스 속에 속해있다. 최대 증식량에 도달하기까지는 5~14일이 소요되는데 보통 원숭이 신장 유래 세포주인 Vero E6세포주에서 가장 적합하게 증식한다. 세포병변효과는 나타나지 않거나 약한 수준으로 나타난다.

임상증상 #

발열기 #

발열, 권태감, 식욕부진, 심한 두통부터 복통, 요통, 전신의 발적, 결막 충혈, 출혈반 등이 차차 발생

저혈압기 #

전신증상 지속. 해열과 함께 저혈압으로 불안해 보이며 심하면 착란, 섬망, 혼수 등의 쇼크 증상으로 보이기도 함. 심한 단백뇨, 빈뇨와 함께 혈소판 감소, 백혈구 증가, 혈뇨, 토혈, 적혈구용적 상승 등의 출혈 발생

핍뇨기 #

혈압은 정상이거나 저혈압 상태가 되고 오심, 구토, 핍뇨, 질소혈증, 전해질 이상 등이 발생. 떄로는 뇌부종이나 폐수종도 발생.

이뇨기 #

신기능 회복시기로 다뇨(3~6l/일)가 동반. 심한 탈수, 쇼크, 폐합병증으로 사망하기도 함

회복기 #

가끔 다뇨가 지속되거나 야뇨, 빈혈 증상이 있음

예방 및 관리 #

유행 지역의 산이나 풀밭에 가는 것을 피할 것(특히 늦가을과 늦봄 건조기에는 절대 잔디위에 눕지 말것)
들쥐 배설물에 접촉을 피할 것
야외 활동 후에는 옷에 묻은 먼지를 털고 예방접종을 받을 것
가능한한 피부노출을 적게 할 것
감염위험이 높은 사람(농부, 군인 등)은 적기에 예방접종
의심증상 발생시 조기 진단 및 치료
0.0.1_20210630_7_v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