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부민
#
Find similar titles
Structured data
- Category
- Biology
알부민 (Albumin) #
알부민은 구형단백질(globular protein) 중 하나로 혈액 내에 존재하는 혈청 알부민(serum albumin)이 가장 대중적으로 알려졌다. 알부민 단백질은 척추동물에게서만 발견되는 수용성 단백질로서 혈청 단백질의 50%를 구성하고 있으며 혈액의 삼투압을 조절하는 기능과 혈액을 통해 물질을 수송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출처, PDB
알부민의 구조적 특성 #
알부민, 특히 인간 혈청 알부민 (Human serum albumin)은 5g/100mL의 농도를 가지며 수용성인 특성으로 인해 지방산, 아미노산, 빌리루빈을 포함한 대사물질과 약물의 수송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Cu 2+ 및 Zn 2+ 와 같은 금속물질에 대해서도 매우 친화적으로 반응한다. 알부민의 생리학적 기전으로서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알부민이 물질수송뿐만 아니라 혈장의 pH 및 삼투압을 유지하는 기능 또한 담당한다.
아래 단백질 구조를 살펴보면 인간 혈청 알부민은 I, II, III으로 명명된 3개의 도메인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이들 구조는 비대칭적이다. 하지만 이들을 다시 a와 b라는 하위 도메인으로 나누게 되면 Cysteine residue에서 disulfide bond를 구성하는 특징적인 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도메인 II와 III의 하위도메인 a에는 양전하를 띄는 포켓 구조 안에 소수성 코어를 가지고 있는데 IIa에는 빌리루빈이 결합하는 것으로 추측되며 IIIa에는 트립토판, 티록신과 같은 약물이 결합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출처 peds, protein engineering design & selection
알부민의 임상적 활용 #
알부민은 간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간 손상이 발생한 경우 알부민 수치가 낮아지게 된다. 한국에서는 B형 간염이 만성화되어 간 경변으로 진행되는 경우 간 경변을 진단하기 위해서 혈소판, 프로트롬빈 시간과 함께 알부민 수치를 측정한다. 일반적으로는 알부민 수치를 측정하기 위해 팔의 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진단에 활용하지만, 소변을 통해서도 알부민 수치를 측정할 수 있다.
출처 #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www.kslm.org/
대한간학회: https://www.kasl.org/
Medline: https://medlineplus.gov/lab-tests/albumin-blood-test/
PDB: https://www.ebi.ac.uk/pdbe/entry/pdb/1ao6/ci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