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PI
#
Find similar titles
- 최초 작성자
- 최근 업데이트
Structured data
- Category
- Programming
Table of Contents
오픈 API #
오픈 API #
오픈 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정보를 단순히 정적으로 서비스하던 기존의 정보 제공 개념을 넘어서서 정보 이용자가 자신의 목적에 맞게 자유로운 방식으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기본적으로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목적의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을 개발하는 프로그래머들이 사용하기 용이하게 구성되었지만, 최근에는 빅데이터 이슈와 더불어 일반인들도 다양한 방식으로 오픈 API를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오픈 API의 소재 #
우리나라의 경우 주로 국가기관들을 중심으로 각 기관에서 생성하거나 관리하는 데이터들을 오픈 API로 제공하고 있는데 그 소재는 문화부터 교통, 행정, 도시관리, 교육, 안전, 산업경제, 복지, 보건, 환경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오픈 API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공개 정보들을 단일로 활용할 수도 있고, 여러 분야의 정보들을 혼합하여 새로운 가치가 있는 시스템이나 2차 정보들을 창출해낼 수 있다. 또한 국가기관이 아닌 일반 기업의 경우에도 오픈 API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주로 포탈 사이트 업체나 기술 공유 단체 등에서도 활발하게 오픈 API를 제공하고 있다.
오픈 API의 서비스 제공 방식 #
오픈 API는 기본적으로 웹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 프로토콜에 기반한 형식으로 제공되는데,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REST와 SOAP가 있다. 또한 전통적인 방식으로 엑셀이나 한글, PDF처럼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파일 형식으로도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오픈 API의 이용 방법 #
국가에서 제공하는 오픈 API의 경우, 공공 데이터 포탈 사이트에서 각종 자료와 오픈 API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일반 기업에서 제공하는 오픈 API의 경우, 자신들의 웹페이지에서 오픈API 관련 소식과 자료를 공개하고 있다.
오픈 API 웹주소 | 제공 주체 | 오픈 API 내용 |
---|---|---|
https://www.data.go.kr/main.do | 국가(공공 데이터 포털) | 국가기관의 다양하고 방대한 정보 |
https://developers.google.com/maps/?hl=ko | 구글지도 API | 구글지도의 데이터 |
http://tech.kakao.com/openapi/ | 카카오의 오픈 API | 카카오의 다양한 데이터 |
공공데이터 오픈 API의 이용조건 #
상업적 이용이 불가능한 오픈 API를 상업적으로 활용할 경우에는 이용에 제약을 받게 된다. 또한 API로 가져가는 정보의 양과 횟수가 지나치게 많아 트래픽이 초과할 경우에도 이용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공공의 목적이 아닌 개인적 목적 또는 불법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이용의 범주에서 제외된다.
공공데이터 오픈 API의 이용절차 #
활용하고자 하는 사람이나 조직은 우선 공공 데이터 포털에 가입을 하고 활용 신청을 한 다음, API를 연계할 수 있는 인증키를 발급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