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온라인건강정보 #

Find similar titles

2회 업데이트 됨.

Edit
  • 최초 작성자
  • 최근 업데이트
    JehongLee

Structured data

Category
Big Data

관심분야에 대한 정보를 얻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지만, 최근 가장 손쉽고 빠르게 정보를 습득하는 방법은 온라인이다. 특별히 100세 시대를 살고 있는 현대인들은 온라인을 통해 건강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의료 문제에 대한 관리도 온라인을 통해 얻고, 이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의 다양함이 정확한 정보를 찾는데는 더 많은 어려움을 갖게 만들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왜냐하면, 정화한 정보를 찾기 위해 하나의 정보를 찾으면, 이를 필터링하고, 이해하고 또한 다양한 소스를 통해 분포되어 있는 건강 정보를 통합해야 하기 때문이다.

관련 연구 #

최근 온라인 정보를 통해 건강문제를 해결하는 전략에 대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8~85세의 60명 어른들에게 처리시간, 추론능력 및 시행 기능과 같은 기술들을 측정하는 인지 능력 테스트를 완성하도록 하여 하였는데, 참가자 대부분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복잡한 건강 정보 문제와 관련된 여러가지 질문에 대해 검색하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젋은 참가자들과 인지 테스트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그룹들은 키워드를 수정하며 검색하는 분석적인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나이가 든 참가자들은 작업을 완성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긴 하였지만, 더 효율적으로 검색하여 젊은 참가자들 만큼 정확한 응답을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검색 엔진이 매우 파워플하다 할지라도, 인터넷을 이용해서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쉬운 방법이 아님을 나타내고 있으며, 온라인을 통해 정확한 건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분별한 정보의 나열이 아닌, 정보에 대한 중요한 식견을 제공하기 위한 검색방법을 특성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온라인을 통해 다이어트, 의료, 식품등에 대한 다양한 키워드의 건강 정보를 제공받고 있지만, 검색 주체가 관련 내용에 대한 식견과 기본 정보가 없으면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기 어렵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특히 노년층은 인지능력이 점차적으로 하락하므로 이에 따른 새로운 검색 방법 및 건강관련 정보 제공를 위한 틀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참고문헌 #

http://edm.sagepub.com/content/early/2015/05/20/1555343415583747.abstract

0.0.1_20231010_1_v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