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
Find similar titles
- (rev. 6)
- Hana Song
Structured data
- Category
- Biology
유방암(Breast cancer) #
유방암은 유방 밖으로 퍼져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악성 종양으로 세포의 종류 및 침윤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유방은 크게 실질조직과 간질조직으로 구분된다.
* 실질조직 : 소엽(젖을 분비하는 곳), 유관(젖을 유두로 운반하는 젖샘관)
* 간질조직 : 소엽과 유관들의 사이를 지지해주는 결합조직, 지방, 혈관, 신경, 림프관 등
대부분의 유방암은 유관에서 발생한다.
BRCA1, BRCA2 #
유방암과 관련된 유전자로 BRCA1과 BRCA2가 있다.
BRCA1과 2는 종양 발생을 억제하는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이다. DNA 손상에 의해 암이 발생하는데 이 유전자들은 DNA 손상을 복구하는데 도움을 준다.
BRCA1과 2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단백질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거나 변형이 일어나게 되어 기능이 저하되고, DNA 손상을 복구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결론적으로는 암을 유발하게 된다.
일반 여성들이 유방암에 걸릴 확률은 약 12% 정도이지만, BRCA1과 2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여성이 유방암에 걸릴 확률은 50%이상이다. 유방암 발생과 BRCA 유전자의 연관성이 알려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유방암 항암치료 연구 #
유방암은 다양한 형태적, 생물학적 특성을 갖는 질환으로 최근 분자 생물학적 분석의 발달은 유방암을 그 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기능적으로 분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유방암은 유전자 발현 양상에 따라 5가지 군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5가지 분류 중 기저세포와 유사한 일련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보이는 군을 기저형군이라고 한다. 이들은 흔히 기저세포의 표지자인 면역조직화학염핵에서는 양성을 보이며, 에스트로겐 수용체(ER), 프로게스테론수용체(PR), human epiodermal growth fator receptor2 (Her2/neu)등은 모두 음성인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 중 통상적으로 ER, PR, Her2/neu가 모두 음성인 삼중음성 유방암(TNBC)은 기저형 유방암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다. TNBC는 유방암 분류 중 약 10-20%를 차지하고, 다른 유방암에 비해 효과적인 분자 표적 치료제나 항암제가 없었다.
그리고, 그 예후 또한 다른 유형보다 좋지 않은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소수의 유전자 이상이 TNBC 발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연구에서 약 3천명의 환자에서 유방암을 조사한 결과, 특별히 줄기세포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를 관찰하던 중 TNBC의 경우, BCL11A 유전자가 눈에 뛰게 활성화 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캠브리지 생어 연구소 연구팀은 이 유전자로 인해 최초 항암치료 후 수년 내에 TNBC가 재발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 또한 발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암에서 활성화된 새로운 유전자를 발굴하는 것 또한 새로운 치료제를 탐색하는 연구에 도움이 되는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Reference #
- Howlader, N. et al. SEER Cancer Statistics Review, 1975-2011, National Cancer Institute. Bethesda, MD, (2014).
- Antoniou, A. et al. Average risks of breast and ovarian cancer associated with BRCA1 or BRCA2 mutations detected in case series unselected for family history: A combined analysis of 22 studies. Am J Hum Genet. 2003; 72(5):1117–1130.
- Chen, S. and Parmigiani, G. Meta-analysis of BRCA1 and BRCA2 penetrance. J Clin Oncol. 2007; 25(11):1329–1333.
- http://www.nature.com/ncomms/2015/150109/ncomms6987/full/ncomms6987.html
- http://www.sanger.ac.uk/about/press/2015/15010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