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장기이식
#
Find similar titles
- (rev. 3)
- 4everYoung
Structured data
- Category
- Biology
이종장기이식은 다른 종간의 장기이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들이 나오게된 배경은 전세계적으로 장기이식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한국기준으로 전체 장기이식 수여가 필요한 사람 중 장기이식수여자는 11.5%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종장기이식은 아직 해결해야할 인체반응들이 있다.
초급성 거부반응(HAR) #
초급성 거부반응은 장기이식 시 가장 빨리 나타날 수 있는 면역반응 중 하나이다. 이는 돼지에게만 있는 α1,3-GalT 효소가 인체에 들어왔을 때 생성되는 항체들로 인해 혈청보체계와 혈액응고계의 활성화가 유도되어 이식장기의 기능이 정지되는 반응이다.
체액성 거부반응(AHXR) #
체액성 거부반응은 초급성 거부반응 이후에 나타날 수 있는 반응으로 α1,3-GalT의 항체 이외에 이종항원에 대한 항체반응으로 나타나는 면역반응이다. 이러한 면역반응들을 통해 인체에서는 혈전혈관병증 (thrombotic angiopathy)과 파종성 혈관내 응고 증후군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가 나타난다.
앞서 서술한 이러한 면역반응들을 극복하기 위해 항체매개 거부반응 조절, 혈액응고기전의 조절, α1,3Gal Knock-out 돼지의생산등의 연구들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유전자편집기술들을 통해 거부반응이 없는 이종장기이식 연구결과들도 뉴스로 거론되고 있다.
유전자 편집기술과 이종장기이식 #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하면 이종의 특정 유전자들 한쌍을 정확히 잘라낼 수 있다. 이로 인해 궁극적으로 면역억제제도 필요없는 돼지 췌도세포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