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감수성시험법
#
Find similar titles
- (rev. 2)
- Hey-young
Structured data
- Category
- Biology
Table of Contents
개요 #
감염환자의 치료를 위해 항생제를 환자에게 투여할 때는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임상의사는 감염 세균의 항생제에 대한 유전적 성상 및 약리 작용 등을 고려하고 감수성 시험결과에서 항균력이 있는 약제를 선택하여 환자에게 투여한다. 항생제감수성시험의 해석기준은 MIC에 기초한다.
항생제 감수성 시험 종류 #
항생제 감수성 시험은 원리에 따라 크게 희석(dilution)법과 확산(diffusion)법의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각 방법마다 시간, 비용, 난이도, 시험 가능 균주 및 항생제의 종류, 자동화 가능여부 등의 특징이 다르므로 시험의 목적에 따라 적절한 검사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희석법 #
희석법의 장점은 정량적인 결과(최소억제농도;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얻을 수 있다는 것과 디스크확산법으로 검사할 수 없는 세균의 감수성결과를 정확히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액체배지 시험관희석법(broth macrodilution)과 액체배지 미량희석법(broth microdilution)이 있고, 근래에는 상품화된 후자의 방법이 널리 쓰이고 있다.
액체배지 시험관시험법(broth macrodilution) #
액체배지 시험관희석법은 널리 쓰이지 않지만 최소살균농도(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도 시험할 수 있다.
액체배지 미량희석법(broth microdilution) #
최근 임상미생물검사실에서 사용하는 자동화장비는 액체배지 미량희석법으로 MIC를 측정하며, 이에 대한 기술은 뒤에서 자동화 장비에 의한 감수성검사 부분에서 언급할 예정이다.
한천희석법(agar dilution) #
한천희석법은 많은 수의 균주에 대한 MIC를 측정할 때 흔히 쓰이며, 액체배지 희석법보다 편리하고, 오염이나 감수성이 다른 소수의 변이 세균이 섞여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재현성이 더 높다.
확산법 #
디스크확산법 #
Kirby-Bauer법을 기초로 한 CLSI법이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으며, 시험방법을 잘 지키면 상당히 정확하고 재현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항생제가 들어 있는 종이 디스크를 세균이 접종된 배지의 표면에 놓는다. 건조된 디스크는 물을 흡수하고 항생제가 녹아서 배지 중으로 퍼지게 된다. 디스크에서 멀어질수록 항생제 농도가 낮아지는 농도 경사(density gradient)가 이루어진다. 대체적으로 16∼18시간 배양 후 디스크 주변의 억제대를 측정한다.
디스크확산법은 한 균주를 여러 항생제에 대해 검사하기 쉽고, 새로운 항생제를 쉽게 추가할 수 있으며, 새로운 breakpoint를 적용하기도 쉽고,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 근래에는 디스크확산법도 자동판독장비가 도입되어 검사결과의 저장이 가능해 졌으며, 검사자간 판독 오류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각주 #
- MIC: 배양된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항생제의 가장 낮은 농도를 의미
- Breakpoint: 항생제가 체내에 도달할 수 있는 농도를 기초로 결정한 값으로 미국의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CLSI), 유럽의 European Committee o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EUCAST) 등의 기준이 가장 널리 이용ehla
참조 #
- (2012) 의료관련감염균 검사실 표준진단법.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