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모단백질잡종법
#
Find similar titles
- (rev. 3)
- hmkim
Structured data
- Category
- Experiment
Y2H(Yeast two-hybrid system) #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거의 모든 반응들은 다양한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통해 조절된다. 기존의 잘 알고 있는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는 미지의 단백질을 찾아 새로운 기전을 밝혀내는 것은 분자 생물학에서 오랫동안 이루어진 연구 대상이였다. 효모단백질잡종법은 효모에서의 물리적 상호작용 테스트를 통해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알아내는 기술이다.
원리 #
핵심은 대부분의 진핵 생물에서 전사인자들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활성 도메인과 결합 도메인이 직접적인 결합이 없어도 가까이 있으면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전사인자가 두 조각으로 나뉘어 있어도 전사가 작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상류 활성화 부위 (UAS, upstream activating sequence)에 두 조각으로 나뉜 전사인자가 결합할 수 있다면, 하류 보고 유전자 (Downstream reporter gene)가 활성을 가질 것이고, 이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효모의 GAL4 유전자도 이와 마찬가지로 전사에 중요한 2가지 도메인을 가진다. 먼저 상류 활성화 부위에 결합하는 GAL4의 DBD(DNA binding domain)에 A 단백질의 유전자를 결합시킨다. 이를 미끼 단백질(bait)이라고 부른다.GAL4의 AD(activation domain)에는 A 단백질과의 상호작용 실험을 할 B 단백질을 결합시킨다. 이를 먹이 단백질(prey)이라고 한다. A 단백질과 B 단백질이 만약 상호작용을 한다면, 상류 활성화 부위에 GAL4의 DBD가 결합하고, 이에 연결된 A 단백질과 B 단백질이 상호작용하고, B 단백질에 연결된 GAL4의 AD가 하류 보고 유전자의 활성을 유도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