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4차 산업혁명 #

Find similar titles

13회 업데이트 됨.

Edit

4차 산업혁명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IR)) #

4차 산업혁명이란? #

Image

4차 산업혁명(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IR라고도 불리는데,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루어낸 혁명 시대를 말한다. 이 혁명의 중요 요소는 인공지능(AI), 로봇공학, 사물 인터넷, 무인 운송 수단(무인 항공기, 무인 자동차), 3D 인쇄, 나노 기술과 같은 6대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 혁신이다.

4차 산업혁명은 2016년 1월 20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에서 처음 언급된 개념이다. 지금(Now), 여기서(Here), 사람들이 원하는 형태(Only for me)로 제품과 서비스가 즉각 제공될 수 있도록 기술이 개발되고 활용되는 것이 제4차 산업혁명이다.


세계경제포럼은 ‘제4차 산업혁명’을 “3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과 바이오산업, 물리학 등의 경계를 융합하는 기술혁명”이라고 설명한다. 즉, 4차 산업혁명은 3차 산업혁명의 연장선이자 확장판이라는 것이다.

산업혁명의 역사 #

1차 산업혁명: 증기기관 18세기 중엽에서 19세기 초 영국을 중심으로 증기기관이 기폭제가 되어 기계화 혁명이 시작되어 육체노동의 절감으로 시작하였다.

2차 산업혁명: 전기 동력 대량생산 20세기 초 미국을 주도로 하여 전기의 발명과 보급으로 인해 공장에 전력이 보급되면서 컨베이어시스템이 등장하게 된다. 생산을 넘어 대량생산이 가능해지고 석유자원이나 전화, 텔레비전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기술 보급이 가능해졌다.

3차 산업혁명: 컴퓨터 제어 자동화 3차 산업혁명 = 컴퓨터혁명 혹은 디지털혁명
1960년대에 시작되었고 반도체와 메인프레임 컴퓨팅, PC, 인터넷이 발달을 주도했다.

Image

표. 1~4차 산업혁명 비교

4차 산업혁명 특징 #

제4차 산업혁명은 ‘초연결성(Hyper-Connected)’, ‘초지능화(Hyper-Intelligent)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모든 것이 상호 연결되고 보다 지능화된 사회로 변화”시킬 것이라 말한다.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등 정보통신기술(ICT)의 급진적 발전과 확산은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연결성을 기하급수적으로 확대시키고 있고, 이를 통해 ‘초연결성’이 강화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혁신 기술 #

인공지능, 메카트로닉스, 사물인터넷(IoT), 3D 프린팅, 나노기술, 바이오기술, 신소재기술, 에너지저장기술, 퀀텀컴퓨팅

1. 물리학 기술
- 무인 운송수단
 - 3D 프린팅
 - 로봇공학
 - 그래핀(신소재)

2. 디지털 기술
  - 사물 인터넷
  - 블록체인 시스템

3. 생물학 기술
 - 유전학
 - 합성생물학
 - 유전자 편집

4차 산업혁명의 주요 변화(산업구조) #

우선 기술·산업적 측면에서 제4차 산업혁명은 기술 및 산업 간 융합을 통해 “산업구조를 변화”시키고 “새로운 스마트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기존의 제조업은 빅데이터, IoT, 빅데이터, AI 등 디지털기
술 및 플랫폼 비즈니스와 같은 새로운 패러다임과 결합 가능. 
또한 맞춤형 소량생산, 스마트 공장 등 제조공정 측면의 혁신과 소비자 접점이 제품에서     IoT 제품기반의 서비스 가능.

(1) 제조공정의 혁신: 3D 프린팅 기술 도입에 따른 맞춤형 소량생산 가능
(2) 스마트공장 확산(공정의 자동화, 지능화)
(3) 제조의 서비스화(제품과 서비스의 결합, 제품과 SW의 결합)

Image

4차 산업혁명 정의, News1©, 이은주 디자이너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우리나라의 대응 전략 #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 변화는 이미 우리의 가시권 안에 들어와 있다. 우리나라도 더 늦기 전에 한 세대 이상의 미래를 내다보고 혁신적인 변화에 대응한 중장기 관점의 대응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능정보기술을 사회문제 해결에 적용하여 공공분야에 선도적으로 도입함으로써 서비스 개선 및 관련 산업 초기 시장 창출 견인이 필요하다. 또한 개인정보의 활용-보호간 균형적인 정책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지능정보사회 수준에 걸맞는 사이버 침해 대응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관련 키워드 #

빅데이터, 인공지능, 나노, 로봇공학, 사물인터넷, 3D인쇄, 자유주행, 가상현실, 증강현실, 융합현실, 정보보호, IoT, 지능정보기술, 초연결성, 초지능성, 예측가능성, 로봇, 알파고, 드론, 인지과학, 뇌과학, 정보보호, 자동화, 초소형컴퓨터, 퀀텀컴퓨팅, 바이오테크놀로지, 지식, 고급지식, 공유, CPS, 세상을뒤바꾼디지털, 무인운송수단, 양자암호, 5G ,LTE, UHD-TV, 온디맨트서비스

Reference #

1.[TMook]4차 산업혁명이란? 2편
2.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최종).pdf
3. Schwab, Klaus ,2016.1.11,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rld Economic Forum. ISBN 1944835008.
4. 김진하,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 방안 모색, KISTEP Inl(14호)
5. 조윤정, 한국형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 산업기술리서치센터
6. 이은민, 4차 산업혁명과 산업구조의 변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제28권 15호 통권 629호

Suggested Pages #

0.0.1_20230725_7_v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