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igital Transformation #

Find similar titles

2회 업데이트 됨.

Edit
  • 최초 작성자
    jmkang
  • 최근 업데이트
    jmkang

Structured data

Category
Big Data

Digital Transformation 개념 #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란 기존 전통적 방식의 비지니스 모델부터 사업 전략, 업무 프로세스, 제공 서비스 및 제품, 조직 구조, 경영 방식 등 사업의 전 분야에 걸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여 변환는 것을 의미하며 아날로그 방식으로 축적된 데이터를 디지털화 하는 Digitization 단계와 디지털 정보 및 기술을 이용하여 업무 프로세스를 디지털화 하는 Digitalization을 포함하는넓은 범위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물 인터넷(IoT), 인공지능(AI) 솔루션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플랫폼으로 구축·활용하여 기존 전통적인 운영 방식과 서비스 등을 혁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IBM 기업가치연구소의 보고서(2011)는 ‘기업이 디지털과 물리적인 요소들을 통합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변화시키고, 산업에 새로운 방향을 정립하는 전략’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시장조사 전문기관 IDC는 디지털 전환을 ‘기업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제품,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해 디지털 역량을 활용함으로써 고객 및 시장의 파괴적인 변화에 적응하거나 이를 추진하는 지속적인 프로세스’라고 정의하였습니다.

Digital Transformation 단계 #

단계 Phase 1 Phase 2 Phase 3
구분 Digitization Digitalization Digital Transformation
시기 ~2000년(PC 중심) ~2010년(Web/인터넷 중심) 2011년~(모바일/클라우드 중심, ’15년부터 DT용어 본격 사용)
목적 정보의 디지털화(데이터화/정보화) IT기술을 활용한 프로세스 중심의 운영 혁신(업무 효율화, 비용절감) 디지털기술 중심의 비즈니스 혁신(매출 증대, 신규 고객/매출 확보)
Enabler 개인PC/대용량컴퓨터시스템/PC통신 Information Technology Digital Technology
변화 내용 정보의 유형(아날로그 정보 → 디지털 정보로 전환) 업무처리 방식(업무 프로세스의 IT화, 주문/생산 방식의 디지털화) 비즈니스 모델(제품의 서비스화, 제품+서비스 결합, 신규 서비스)
0.0.1_20230725_7_v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