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BIF
#
Find similar titles
- 최초 작성자
- 최근 업데이트
Structured data
- Category
- Database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GBIF)
Table of Contents
정의 #
범세계적인 생물다양성정보 DB를 네트워크화하여 정보의 확보/관리 및 공유, 활용연구와 지원을 목적으로 OECD의 Biodiversity Informatics Subgroup의 권고를 통해 2001년 3월 설립된 가상 생물정보 국제기구이다.
개요 #
- 생물다양성은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주요 척도 중 하나이며, 생물다양성정보는 특정 지역의 지속가능 개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다.
- 지엽적이며 국가 편중적으로 존재하는 생물다양성정보의 효과적인 검색을 위해 1996년 OECD에서는 생물다양성정보를 총괄하는 기구의 조직이 제안되었고, OECD 산하 부속기구가 아닌 모든 국가과 국제조직에 개방된 독립적 국제 기구 설립에 합의하였다. 이로써 참여 회원국 간의 생물다양성 DB를 인터넷 웹서비스를 통해 연결 및 공유하는 가상 생물정보기구인 GBIF를 운영하게 되었다.
- DECD 회원국, 비회원국, EU 등 GBIF에 참여하는 회원국들이 공동부담한 자금을 통해 코펜하겐에 4개의 팀으로 구성된 사무국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 총 90개 국가 및 기관(정회원국 37, 준회원국 및 국제기구 53)은 국가 프로그램으로 GBIF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587개의 제공기관으로부터 총 438,603,338건의 DB 구축하였다.
- 2011년 현재 104개 국가 및 관련기구가 공동참여, 약 3억 여건 이상의 생물다양성데이터를 GBIF 네트워크를 통하여 등록, 공유함으로서, 생물다양성의 지구적 연구, 생태보전, 정책결정 등 거대과학에 활용하고 있다.
- 2011년 6개 지역-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라틴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오세아니아-에 NSG (Nodes Steering Group)을 설립하여 지역 내 전문성을 높이도록 했다.
- 2017년 9월 현재, 833,307,408 occurrence records, 36,074 datasets가 등록되어 있다.
특징 #
- 개방형 데이터 연구 인프라
- 생물다양성자원의 발굴·수집·정보화와 공유를 통해 세계에 흩어져 있는 방대한 생물다양성 데이터베이스를 서로 연결하고 있음
- 각 회원국과 유관기구와 서로간의 정보를 자유롭게 검색하고 사용함
데이터 종류 #
- GBIF는 포털을 통해 실시간으로는 생물다양성 데이터를 '''분류학적 특성'''과 '''레코드 형태'''별로 현재 제공 가능한 데이터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지도상에 제공하며 각각의 레코드 별로 검색 및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음.
분류학적 특성(Taxonomic characteristics) #
- Animalia
- Plantae
- Fungi
- Protozoa
- Chromista
- Bacteria
- Archaea
- Viruses
- Other
레코드 형태(Record type characteristics) #
- Human Observation
- Observation
- Specimen
- Unknown evidence
- Fossil
- Living Specimen
- Literature Occurrence
- Machine Observation
국내동향 #
- 우리나라는 2001년에 17번째 정회원국으로 가입하여 활동 중이다. 일찍이 교육과학기술부가 2001년부터 GBIF의 투표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고, 특정연구개발사업 중 유전자원 지원활용사업 의 일부분으로 관련업무를 지원하고 있다.
- BIK (Biodiversity Information of Korea)는 GBIF의 우리나라 중심기구이다.
- 대한민국에 관해 등록된 데이터(1856~현재): 1,620,145 occurrences, 518 datasets, 28개국과 data 공유
참조 #
-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 http://www.gbif.org/
- 대한민국생물다양성정보기구: http://www.kbif.go.kr
- 한국생물자원센터: http://kctc.kribb.re.kr/kctc.as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