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
Find similar titles
- 최초 작성자
- 최근 업데이트
Structured data
- Category
- Programming
Table of Contents
Linux #
컴퓨터의 운영체제 중 하나로 핀란드 대학원생이었던 리누스 토르발스(Linus Torvalds)에 의해 시작된 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을 지원하는 유닉스와 유사한 운영체제이고, GPL라이센스에 의해 무료로 배포 및 사용이 가능하다. RedHat, CentOS, Fedora, Open suse, Ubuntu, Kubuntu, Mint linux 등의 여러 배포판이 존재한다.
Linux 역사 #
Linux 배포판 역사 (출처)
1991년, 핀란드 헬싱키 대학의 리누스 토르발스는 유닉스(Unix)의 교육용 버전, 즉 학생들의 학습을 목적으로 개발된 미닉스(Minix)를 사용하던 중 부족함을 느끼고 새로운 운영체제를 만들게 된다. 첫 번째 버전인 0.01은 1991년 9월 17일 인터넷을 통해 공개되었고 첫 공식 버전인 0.02버전이 같은 해 10월에 발표되었다. 그 후 전 세계의 수천만의 개발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지금의 리눅스에 이르게 되었다.
Linux 특징 #
- 높은 신뢰성과 성능
- 유닉스 설계 기반, 최고 성능을 낼 수 있도록 구성
- 다중 사용자 및 다중 처리 시스템
- 동시에 여러 명 사용 가능
- 높은 안정성과 보안성
- 공개용 소프트웨어를 지지하는 수많은 전문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빠르게 오류가 수정되며, 개선되고 있음.
- 다양한 하드웨어 지원
- 뛰어난 네트워킹 기능
- 다양한 파일시스템 지원
- 다양한 배포판의 존재
Linux 단점 #
- 기술지원 부족
- 대부분이 비상용 소프트웨어다 보니 친절한 기술지원이 없음.
- 모든 하드웨어를 커버하지 못함.
- Linux를 능숙하게 다루기 위해서는 숙련된 기술과 경험이 필요
- CUI 환경으로 다소 불편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Linux 사용 이유 #
- 오픈소스 기반으로 대부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음.
- 서버용 프로그램은 대부분 사용이 편리한 GUI보다 장시간 안정적인 CUI환경이 많음.
- 서버용 운영체제로 널리 사용됨 (최근 유닉스 -> 리눅스).
- 다수가 사용하고 이바지함으로써 보다 더 보안에 강력하며 안정적이고 신기술 활용이 가능함.
- 소프트웨어 개발과 관련된 많은 오픈 소스 프로그램을 쉽게 사용할 수 있음.
- 과학 분야 (생물정보 등)에 사용되는 수많은 도구들이 리눅스 환경에서 개발됨.
Linux 배포판의 종류 #
SLS(Softlanding Linux System) #
최초의 리눅스 배포판으로, 1992년 5월 피터 맥도날드에 의해 만들어졌다. 출시 당시 가장 인기 있는 배포판이었지만 사용자들에 의해 버그가 존재하는 것이 발견되면서 새로운 배포판이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슬랙웨어(Slackware) #
패트릭 볼커딩(Patrick Volkerding)에 의해 SLS에 존재하는 버그를 잡기 시작하면서 1993년 7월 SLS를 기반으로 디자인의 안전성과 단순성을 목표로 슬랙웨어라는 리눅스 배포판을 만들었다. 슬랙웨어는 다른 배포판과는 다르게 그래픽 기반의 설치가 없고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의존성도 자동으로 해결해주지 않으며, 모든 설정이나 관리를 편집기를 이용해 텍스트 파일을 직접 수정하는 형태로 되어있어, 리눅스에 친숙하고 숙달된 사용자를 위한 리눅스라고 할 수 있다.
- 슬랙웨어 계열의 배포판 : SuSE, Porteus, Vector Linux, Salix OS 등
데비안(Debian) #
데비안은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로 대부분이 GNU PL 라이선스 기반에 있고 1993년 9월에 최초 버전을 출시하였다. 슬랙웨어는 패키지를 새롭게 추가하거나 수정하기 어려운 반면에 데비안은 패키지 설치 및 업그레이드 등 사용자의 편의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패키지 관리가 매우 편리하다. 초기에는 dpkg라는 패키지 관리도구를 사용하였고, 최근에는 더욱 기능을 확장한 apt를 사용해서 설치나 업데이트를 할 경우 다른 패키지와의 의존성 확인과 보안 관련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수행한다. 또한 GUI 환경이 매우 잘 되어 있어 리눅스를 처음 접하는 초보자에게 적합하고 연 2회 정기 업데이트, 2년에 1회 장기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 그래서 서버의 목적보다는 개인 사용자가 PC에서 쓰기 적합하다.
- 데비안 계열의 배포판 : Ubuntu, Linux Mint, Kali Linux, Konoppix, Corel 등
레드햇(Red Hat) #
가장 인기있는 리눅스 배포판으로 1993년 밥 영(Bob Young)이 리눅스 및 유닉스 소프트웨어 액서사리를 판매하는 ACC Corporation을 설립하고 1994년 마크 유잉(Marc Ewing)이 독자적인 리눅스 배포판인 Red Hat Linux라는 이름으로 출시한다. 레드햇 리눅스는 쉬운 설치와 독자적인 패키지 관리로 많은 사용자에게 인기를 끌었으며 설치 과정은 텍스트 기반의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RPM과 YUM이라는 패키지 관리 도구를 제공하여 초보자들도 손쉽게 설치, 관리, 업그레이드 할 수 있었다. 레드햇은 2003년에 배포된 Red Hat Linux 9버전까지만 무상으로 배포하였고, 현재는 Red Hat Enterprise Linux(RHEL)이라는 유료 배포판을 만들어 업데이트를 지원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RHEL)를 그대로 계승하는 무료 기업용 OS인 CentOS가 가장 인기가 있으며, 기업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다. 또한 레드햇 계열은 서버용 OS가 목적이기 때문에 보안, 안정성이 뛰어나며, 그러한 이유로 업데이트보단 보안, 안정성을 우선시한다.
- 레드햇 계열의 배포판 : RHEL, CentOS, Fedora, Oracle Linux 등
Linux Tips #
Incoming Links #
Related Data Sciences (DataScience 0) #
- Gnuplot
- Linux/기본명령어
- Linux/기본명령어/History
- Linux/기본명령어/IO
- Linux/기본명령어/awk
- Linux/기본명령어/cat
- Linux/기본명령어/cd
- Linux/기본명령어/chmod
- Linux/기본명령어/clear
- Linux/기본명령어/cp
- Linux/기본명령어/crontab
- Linux/기본명령어/df
- Linux/기본명령어/diff
- Linux/기본명령어/dump
- Linux/기본명령어/find
- Linux/기본명령어/grep
- Linux/기본명령어/less
- Linux/기본명령어/ls
- Linux/기본명령어/mkdir
- Linux/기본명령어/more
- Linux/기본명령어/mv
- Linux/기본명령어/nano
- Linux/기본명령어/process
- Linux/기본명령어/ps
- Linux/기본명령어/pwd
- Linux/기본명령어/restore
- Linux/기본명령어/rm
- Linux/기본명령어/screen
- Linux/기본명령어/sed
- Linux/기본명령어/su
- Linux/기본명령어/tail
- Linux/기본명령어/tar
- Linux/기본명령어/touch
- Linux/기본명령어/wget
- Linux/기본명령어/yum
- Linux/기본명령어/프로세스
- Linux/파일시스템
- Rocks
- SSL
- STRESS
- Text editor
- Toward effective software solution for big biology
- Vim
- YUM
- hadoop 총정리 3편
- terminal
- 그리드 엔진
- 파이썬/라이브러리/HTSeq
Related Articles (Article 1) #
Related Etcs (Etc 2) #
Related Bioinformaticses (Bioinformatics 3) #
Suggested Pages #
- 0.513 Linux/기본명령어/cut
- 0.239 파일시스템
- 0.132 파일시스템/Lustre
- 0.037 Django Test Driven Development with Docker
- 0.030 GitHub
- 0.025 Gnuplot/Install
- 0.013 Git
- 0.006 Let's Encrypt SSL 인증서
- 0.004 장내 세균
- 0.001 편집위원회/페이지이름
- More sugges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