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ariaDB #

Find similar titles

1회 업데이트 됨.

Edit

Structured data

Category
Database

MariaDB #

MySQL과 동일한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으로 MySQL이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제작사)의 소유로 넘어간 후 이에 대한 대응을 위해 만들어졌다. MySQL을 개발했던 몬티 와이드니어스가 MariaDB의 개발도 주도하고 있다.

Image

▲MariaDB 로고

MariaDB가 만들어진 계기 #

썬이 몬티 와이드니어스의 MySQL AB(MySQL 제작사)를 인수할 때는 지속적인 발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실제로 썬은 MySQL의 발전보다는 소유하는 것 자체에만 집중하고 폐쇄적으로 운영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대한 반발로 몬티 와이드니어스는 몇몇 동료와 회사를 떠나 몬티 프로그램 AB사를 설립하고 MariaDB 개발을 시작하였다.

Image

▲MySQL과 MariaDB의 개발자인 몬티 와이드니어스

MariaDB와 MySQL의 버전 차이 #

5.5 버전까지는 MariaDB와 MySQL이 동일한 넘버링을 사용하였으나, 이후 MariaDB는 10.x 로 버전 넘버링을 시작하였고 2022년 6월 현재 10.10(알파)버전, 안정적인 보급용 버전은 10.8.3 버전까지 공개되었다. (MySQL은 현재 8.0 버전까지 공개됨)

Image

MariaDB와 MySQL의 성능 차이 #

제작사의 자체적인 성능 비교 결과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부분의 속도는 약 4~5천 배 빠르며 성능 면에서는 기능에 따라 최고 70%까지의 향상을 보인다고 한다.

MySQL과의 쿼리문(데이터베이스 질의어) 차이 #

쿼리문의 문법이 MySQL과 동일하여 MySQL을 사용하던 사람이라면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단, 쿼리 내에 서브 쿼리를 적용할 때 order 순서가 반대로 적용되는 등 세부적인 부분에서 다소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프로젝트에 MariaDB를 적용하거나 기존에 MySQL로 구축된 시스템을 MariaDB로 전환할 경우, 세부적인 쿼리가 원하는 결과를 잘 도출해내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MariaDB의 기능적 특성 #

기본적으로 MySQL이 제공하는 모든 기능들을 하고 있으며 MySQL에서는 엔터프라이즈 버전에서 플러그인으로 제공되었던 쓰레드풀 기능이 기본 내장되었다. 또한 스토리지 엔진을 활용한 샤딩 기술을 제공하는 등 기존 MySQL의 성능을 넘어 단순 대체만이 아닌 더욱 향상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MariaDB의 주요 추가 기능 #

가상 컬럼, 테이블 제거, 스토리지 엔진 지정 테이블 생성, GIS 기능, 멀티 소스 리플리케이션 등

MariaDB의 미래 #

썬으로 넘어간 MySQL의 폐쇄성에 대한 반발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인 만큼, 앞으로도 오픈 소스 정책을 계속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2012년 말부터 MariaDB를 안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구글 등 대형 IT 회사들의 투자를 바탕으로 MariaDB Foundation을 설립하여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

0.0.1_20230725_7_v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