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genome era
#
Find similar titles
- (rev. 3)
- KyungyunKim
Structured data
- Category
- Biology
Table of Contents
Post-genome era (후 게놈 시대) #
Genome project의 완성으로 생명체의 DNA 정보가 모두 밝혀진 시대를 의미하며, 인간을 비롯한 수 많은 organism들의 genome project가 완성되어 post-genome era 에 접어들게 됨
Post-genome era에서의 생물학 연구의 초점 #
- Genome era에서는 genome sequence를 밝히는데 주력을 했다면 post-genome era에는 그 genome의 역할을 밝히는데 연구의 초점을 둠
- Genome project를 통해 얻어진 방대한 DNA 정보를 이용한 생물학
- DNA가 발현되는 단백질에 대한 연구(Proteomics)
- 유전자의 발현 및 기능과 단백질의 3차 구조를 밝혀 생명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postgenome project
- 방대한 양의 게놈 정보 관리 및 분석을 위한 생명정보학(Bioinformatics) 비중이 커짐
Functional Genomics (기능성 유전체학) #
- 인간이 가진 유전자 중 약 30% 정도만이 그 기능이 밝혀져 있음.
- 기능성유전체학은 genome들의 기능과 발현 조절뿐만 아니라 실제로 유전자가 생체 내에서 어떻게 이용되는지에 대해 연구하여 해당 genome을 인간생활에 유용하게 이용하고 유전적 질병의 원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함.
- 특히 생물정보학의 발달로 특정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유전자들을 분류하여 다양한 분석을 행할 수 있게 되었음.
Comparative Genomics (비교 유전체학) #
- 개인간, 인종간, 생물간의 유전자를 비교 분석하여 그 생체 기능의 차이를 연구하는 학문.
- 사람과 침팬지 등 다른 종들과의 비교뿐만 아니라 사람과 사람간의 차이도 그 비교 범주에 들어가기 때문에 유전적 질환이나 약물 연구에도 이용될 수 있는 분야라 할 수 있음.
- 사람과 타 종간의 유전자 유사성 연구는 사람의 단백질 기능을 밝히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함.
Structural Genomics (구조 유전체학) #
- 단백질의 3차원 입체구조에 바탕을 둔 생물학적 기능과 단백질간 상호 작용을 규명하여 생명현상을 기술하고자 하는 접근 방법.
- 먼저 기능을 전혀 모르는 단백질들의 구조 규명을 하고, 이미 기능이 알려진 유사 분자들과의 구조를 비교하고 목적하는 단백질의 기능을 유추한 뒤 생화학적, 생물학적 검증 실험을 통해 분자의 기능을 분석하는 것.
Proteomics (단백체학) #
- 단백질 수준에서의 발현수치, 해독후의 변형, 질병 진행에 대한 통합된 관점, 세포 진행 등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특성 및 기능을 밝히는 학문.
- Post-genome 시대의 연구의 흐름은 유전자가 단백질을 만드는 과정이 어떻게 조절이 되고 단백질이 어떤 기능을 하고 그 활성이 어떻게 조절이 되는지를 밝히는 방향이 됨.
- 생명의 기본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은 DNA이지만 실제로 생명현상을 주관하는 것은 단백질이기 때문.
Transcriptomics (전사체학) #
- 생체내의 특정 세포의 유전자 발현 정도를 분석하는 학문.
- 전사체는 세포에서 발현 중인 모든 RNA를 말하는 것으로 단백질 발현 정도는 mRNA의 양을 측정하여 유추 할 수 있음.
- 전사체학의 주요 기술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DNA Chip과 SAGE (Serial Analysis of Gene Expression technology)를 들 수 있음.